
당뇨 환자들 중 소득 수준이 낮은 사람은 사망위험이 더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40세 미만의 2형 당뇨 환자 중에서는 소득이 낮은 사람이 높은 사람에 비해 2.88배 사망위험이 더 높고, 60세 이상의 2형 당뇨 환자 중에서는 1.26배 사망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소득이 낮은 2형 당뇨 환자들은 소득이 높은 환자에 비해 심혈관계 질환 발생 위험이 1.41배, 심혈관계 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2.66배 더 높다는 결과도 나왔다.
소득 수준, 의료 서비스와 연관
건강 문제와 경제적·사회적 요인 사이의 연관성이 있다는 것은 여러 연구를 통해 입증된 바 있는 사실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소득이 낮은 집단에서 심혈관계 질환, 2형 당뇨, 비만, 정신건강 문제 등이 더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소득이 낮으면 가장 먼저 ‘건강한 식단’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지기 쉽다. 건강에 좋다고 알려진 신선식품, 유기농 식품 등이 보통 가공식품에 비해 가격대가 높다는 것이 대표적인 예다. 요식업 중에도 영양 균형이 잘 맞춰진 메뉴는 가격대가 높게 형성될 수밖에 없다.
또한, 소득 수준이 낮은 사람들이 일하는 시간이 길거나 불규칙한 경우가 많다는 것도 연관이 있다. 시간적 여유가 부족하다는 것은 운동 부족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고, 필요할 때 의료 서비스를 받지 못할 가능성으로도 이어진다. 다양한 의료 서비스 자체도 소득에 따라 접근성이 달라진다는 점 역시 중요한 포인트다.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현상
특히 2형 당뇨와 심혈관계 질환의 경우, 소득이 낮은 인구 집단에서 더 자주 발생한다는 연구 결과는 전 세계적으로 다양하다. 2008년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연례 보고서 사례부터, 2010년 영국의 건강 설문조사와 2014년 호주 통계청 조사, 2016년 캐나다 통계청의 조사와 2018년 스웨덴 국가 연구 등에서 모두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국내 연구팀이 최근 내놓은 결과 역시 국제적인 동향과 같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연구팀과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연구팀은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활용한 연구를 실시했다. 당시 기준 20세부터 79세 사이의 2형 당뇨 환자 약 60만 명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이들의 소득 수준을 하위, 중위, 상위 3개 그룹으로 구분해 사망위험과의 관계를 확인했다.
그 결과 40세 미만 젊은 당뇨 환자의 경우, ‘소득 하위’에 해당하는 그룹의 사망률이 ‘소득 상위’에 해당하는 그룹보다 2.88배 더 높게 나타났다. 60세 이상 중년 및 노년 당뇨 환자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 소득 하위 그룹에서 1.26배 더 높은 위험이 나온 것에 비하면 차이가 큰 편이다.
연구팀 소속의 안암병원 내분비내과 김남훈 교수는 “젊은 당뇨 환자의 경우 혈당 관리가 어렵고 합병증이 빨리 발생하는 특징을 가진다”라며 “의학적인 측면 이외에도 사회경제적 환경이 젊은 당뇨 환자들의 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이야기했다.
평균 이하 소득에 대한 정책적 지원 필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우리나라의 당뇨 환자는 대략 380만 명 정도다. 여기에 질병관리청에서 지난 9월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30세 이상 성인 2,200만 명 가량이 ‘당뇨 전단계’를 포함한 당뇨 위험군에 해당한다.
소득 수준에 따른 분류는 모집단의 평균적인 소득이 어느 정도인지에 따라 달라질 수밖에 없다. 모집단의 규모가 커지면 그만큼 소득 수준의 분류 기준도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연구팀의 분석에서는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소득 수준을 나눴다. 그렇다면 연구에서 대상으로 한 60만 명보다, 당뇨 환자 380만 명, 당뇨 위험군 포함 2,200만 명을 대상으로 했을 때 ‘하위 소득’의 기준선이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그렇다면 연구에서 ‘소득 하위’로 분류됐던 기준선은 어쩌면 전체 인구를 기준으로 했을 때 중간 수준의 소득에 해당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평균 이하의 소득 수준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건강 관리 접근 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제기한다. 저소득층을 위한 예방 프로그램, 건강 교육 및 지원 서비스 등이 정책 차원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토대로 삼아 소득 수준 외에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육 환경, 주거 환경 등을 총체적으로 반영한 건강 영향 심층 분석을 통해 대중적인 건강 문제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
2천만 명 이상이 고혈압·당뇨 위험, “본인의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알고 있나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9월 1일부터 7일까지 ‘심뇌혈관질환 예방관리주간’을 맞아 「자기혈관 숫자 알기 - 레드서클 캠페인」을 실시한다고 밝혔다.레드서클(Red Circle)은 건강한 혈관을 뜻한다. 2014년부터 실시하고 있는 레드서클 캠페인은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를 알고 관리하여, 심뇌혈관질환을 예방·관리하자는 취지다. 올해는 기존 3040세대에 더해 20대까지 중점 홍보대상에 추가했다. 2022년 국민건강영양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만성질환 예방을 위해 청장년층의 건강 위험요인 관리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20~40 -
혈당 낮추기 어려운 저녁, 가급적 적게 먹어라!
저녁식사의 의미는 과거와 많이 달라졌다. 과거에는 만찬처럼 풍성하게 먹는 경우가 종종 있었지만, 현대인들의 저녁은 점점 더 간소화되고 가벼워지는 경향을 보인다. 건강을 위해서는 저녁을 매우 가볍게 먹는 것이 당연한 일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이러한 믿음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후 5시를 기준으로 그 이후에는 가급적 식사량을 제한하고, 무엇을 먹는지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는 내용이다. 오후 5시 이후, 하루 칼로리 45% 이하스페인 카탈루냐 오베르타 대학과 미국 컬럼비아 대학 공동 연구팀은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그 결과 -
혈당정상수치, ‘안전지대’는 없다… 당뇨정상수치 유지하려면?
최근 젊은 연령대에서도 당뇨, 고혈압, 고지혈 등 만성 대사성 질환이 호발하고 있다. 이들 질환은 대개 반복되는 습관으로부터 기인한다. 자신의 식습관이나 생활습관을 객관적으로 돌아보자. 만약 건강한 습관이 아니라고 여겨진다면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 이제 우리 사회에서 ‘당뇨 안전지대’란 없다고 봐도 무방하다.당뇨는 전형적인 만성 질환이다. 방치할 경우 다양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는데, 대부분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것들이며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도 포함돼 있다. 심장질환, 뇌졸중, 신부전증, 시력 손실 등이 당뇨로 인해 유발될 -
당뇨 위험군 2천만 시대, 당뇨 증상 없애려면 비만 먼저 잡아야
최근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중 63%, 약 2,200만 명이 ‘당뇨 위험군’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는 실제 당뇨 진단을 받은 사람을 포함해, ‘당뇨 전단계’에 해당하는 사람까지 포함한 수치다.당뇨는 한 번 발생하면 그야말로 ‘평생 관리해야 하는’ 증상이다. 정상 수치로 돌아가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한 번 진단을 받은 사람이라면 다시 재발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확진을 받기 전부터 예방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당뇨는 여러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