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희대학교병원(병원장 오주형)이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인증평가를 통과하며 2025년 1기 연구중심병원 인증 자격을 획득했다. 인증기간은 2025년 4월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3년간이다.
최종 21개 의료기관 인증
1기 인증평가에는 기존 지정제 연구중심병원인 10곳을 포함한 총 30개 의료기관이 참여해 최종 21개 의료기관이 인증을 획득했다. 평가는 ▲글로벌 수준의 연구 시스템 및 인력 ▲지속 가능한 연구지원 거버넌스 ▲중개 및 임상연구 수행 역량 ▲특화된 중점 연구분야의 경쟁력 보유 여부 등이 중점적으로 다뤄졌다.
경희대학교병원은 그간 조직적 투자를 바탕으로 연구비 확충, 첨단장비 도입, 임상·연구 협업체계 강화 등을 집중 추진해왔다. 또한, 연구인력 관리위원회 및 연구기획 전담팀을 구성해 중장기적인 계획 하에 전략적으로 우수인력을 확보하며 병원 내 연구 역량을 종합적으로 발전시켜왔다.
오주형 경희대학교병원장은 “경희대학교병원은 의대, 치대, 한의대, 약학대, 간호대, 동서의학대학원까지 모든 의학분야를 포함하는 체제를 갖추고, 학제 간 소통과 융합을 통해 국민첨단의학을 선도하며 국민보건증진과 세계보건의료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며 “최적의 연구환경 구축을 위해 공간과 장비 그리고 인력 등에 아낌없는 투자와 지원을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정부 정책에 발맞춰 서울•경기 동북권의 핵심 의료기관으로서 지역사회 의료발전과 미래의료 혁신을 이끌어 나가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헬스 연구 역량 적극 활용
한편, 경희대학교병원은 1기 인증 의료기관으로 선정됨에 따라 전국 최고 수준의 디지털헬스 연구 역량을 기반으로 의료정보를 활용한 멀티오믹스·노화대응 연구 분야를 강화하고, 만성질환과 필수 의료 분야까지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연구중심병원 제도는 2013년, 진료영역에서의 축적된 지식을 기반으로 산·학·연·병 협력기반 산업플랫폼을 마련하고, 연구 역량 확보 및 사업화를 통해 보건의료 산업발전을 선도하는 글로벌 연구중심병원 육성을 위해 도입됐다.
-
이대목동병원, 2025년 '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 선정
이대목동병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2025년 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에 공식 선정됐다고 밝혔다. 연구중심병원 인증은 오는 4월 1일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3년간 유지된다. -
아주대학교병원, 보건복지부 연구중심병원 최종 인증 획득
아주대학교병원이 2024년 연구중심병원 인증제 개편 이후 첫 인증평가에 통과했다. 2013년 지정제에서 선정된 후 이번 개편된 인증제까지 15년 연속 연구중심병원 지위를 유지하게 됐다. -
한국 의약품, 에콰도르·이집트 등 새로운 시장으로 진출
에콰도르와 이집트에서 우리나라 의약품에 대한 신뢰성을 공식적으로 인정했다. 이에 따라 향후 국내 기업들이 에콰도르와 이집트로 진출할 때 보다 수월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약 1만 명분 인체자원 추가 개방... 의료 연구 활성화 기대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28일(금)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약 1만 명분의 인체자원을 추가로 개방한다고 밝혔다. 이를 토대로 국민적 관심이 높은 노화 및 노인성 질환, 암 등에 관한 연구 활성화를 기대한다. -
유승돈 교수,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이사장 취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유승돈 교수가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2025년 4월 1일부터 2027년 3월 31일까지 2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