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거 우스갯소리로 “음악은 나라에서 허락한 유일한 마약”이라는 말이 나돈 적이 있었다. 워낙 유명세를 타는 바람에 다른 곳에서도 패러디하는 일도 꽤 있었다. 비유적인 표현이라는 걸 알기 때문에 다들 웃고 넘겼을 것이다. 하지만, 실제로 음악이 마약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면 어떨까?
음악 들으면 오피오이드 분비
이는 핀란드 투르쿠 대학의 산하기관 중 하나인 PET 센터에서 이달 초 발표한 연구의 내용이다. <유럽 핵의학 및 분자 영상 저널(Europ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에 게재된 이 연구에서는,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것이 뇌 속 ‘오피오이드 수용체’를 활성화시킨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오피오이드 수용체(Opioid receptor)는 모르핀, 헤로인, 펜타닐과 같은 마약성 물질과 결합해 쾌감 및 진통 효과를 일으키는 수용체다. 즉, 음악을 듣는 행위로 인해 오피오이드 수용체가 활성화된다는 것은 음악이 마약성 물질과 유사한 작용을 한다는 의미가 된다. 이는 음악과 통증 완화 효과에 대한 과학적 근거로도 볼 수 있다.
투르쿠 PET 센터 연구팀은 참가자들이 각자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동안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 뇌에서 오피오이드의 분비를 측정했다. 또한,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MRI) 촬영으로 오피오이드 수용체 밀도가 뇌 활성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모니터링했다.

‘기분 좋은 전율’의 이유
연구 결과에 따르면,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을 듣는 행위는 ‘쾌락’을 느끼게 한다. 이와 동시에 쾌락과 관련된 여러 뇌 영역에서 오피오이드 분비에 영향을 미친다.
흔히 자신의 취향에 맞는 음악을 들을 때 강렬한 쾌감을 느끼기도 한다. 멋진 가창력을 뽐내는 가수의 라이브 무대를 직접 관람할 때면 ‘소름이 돋는다’라고 표현할 정도의 전율을 느끼는 경우도 흔하다. 이는 그만큼 많은 오피오이드 분비가 일어났다는 근거일 수 있다.
한편, 같은 음악을 들어도 사람마다 반응은 다르다. 이는 단순히 개인이 그 음악을 좋아하는지에 따른 이른바 ‘취향 차이’일 수도 있지만, 개인마다 오피오이드 수용체 수가 다르기 때문일 수도 있다. 연구팀에 따르면 오피오이드 수용체가 더 많은 사람은 음악을 감상하는 동안 뇌가 더욱 활성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음악과 통증 완화의 연관성
물론 이는 ‘작용 메커니즘’에 국한한 이야기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실제로 음악이 마약성 물질과 비슷한 작용을 일으키는 것은 맞지만, 그 ‘강도와 효과’ 면에서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음악에 의한 수용체 활성화는 자연스럽고 상대적으로 약한 자극이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연구팀은 뇌의 오피오이드 시스템이 쾌락 뿐만 아니라 통증 완화에도 관여한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즉, 음악과 통증 완화 사이의 연관성을 다룬 기존의 연구 결과는, 음악을 들음으로써 뇌에서 오피오이드 반응이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이는 향후 통증 관리 및 정신건강 질환 치료 전략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리듬감과 청각 기능, 손가락 두드리면 더 잘 들린다?
프랑스 엑스 마르세유 대학교의 연구팀은 ‘멜로디를 들으며 리듬감 있게 움직일 때면, 평소보다 청각 처리가 향상될 수 있다’라는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이 실험을 기획했다. -
음악 활용한 통증 완화, ‘템포’가 중요하다
음악은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통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다. 여기서 하나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템포(SPR)'에 맞는 음악이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
자연의 소리, 소음과 섞이면 안정 효과 반감돼
골짜기에서 흐르는 물 소리, 나뭇잎을 흔드는 바람 소리, 숲속에서 지저귀는 새 소리 등등, 흔히 ‘자연의 소리’라 불리는 것들은 마음을 진정시키고 몸을 이완시키는 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밤에 잠을 이루지 못할 때 유튜브 등을 활용해 빗소리나 모닥불 타는 소리를 들으며 잠을 청하는 경우도 있다.자연의 소리가 갖는 긍정적 효과에 대해서는 그다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자연의 소리에 인위적인 소리가 섞여서 함께 들릴 경우, 그 효과가 크게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자연의 소리는 왜 편안하게 느껴질까?자연에서 들리는 -
정원의 심신 안정 효과, ‘넓게 배치된 자연물’이 더 효과적
잘 가꿔진 나무들로 채워진 정원은 심신을 편안하게 만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같은 정원이라 하더라도 시각적으로 잘 가꿔져 있다면 더욱 효과적인 경향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