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지겨웠던 폭염이 서서히 물러가고 있다. 여전히 한낮에는 뜨거운 날도 있지만, 대체로 아침과 저녁으로는 선선함이 느껴진다. 이렇게 일교차가 크게 나타나는 시기에는 특히 건강에 유의해야 한다. 몸 바깥의 환경이 짧은 시간 내에 급격하게 변한다는 것은, 몸의 항상성 시스템이 혼란을 겪게 된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특히 급격한 기온 변화는 자율신경계 균형에 영향을 미치고, 혈관의 수축과 이완에 변화를 줘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실제로 심혈관계 질환은 10월부터 1월 사이에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인다.

 

위험에 노출되기 쉬운 ‘관상동맥’

심장은 24시간 펌프를 반복하며 몸 전체에 혈액을 공급한다. 뿜어낸 혈액이 동맥을 타고 순환할 때, 그중 일부는 ‘관상동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간다. 스스로 뿜어낸 혈액의 일부를 자신에게 공급하는 시스템인 것이다. 

관상동맥은 구조적으로 봤을 때 그리 넓은 편은 아니다. 혈액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는 대동맥에서 뻗어나오는 가지로서, 오로지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기 위한 혈관이기 때문이다. 24시간 일하는 심장을 위해 존재하므로, 관상동맥은 혈액 흐름이 가장 활발한 혈관 중 하나로 꼽힌다. 즉, 그만큼 노폐물 등으로 인해 좁아지거나 막힐 위험을 안고 있다는 뜻이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심장혈관내과 변재호 교수는 “심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한다. 국내에서는 암에 이어 2위다.”라며 “심혈관은 평소에 괜찮다가도 갑자기 악화될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별다른 건강 문제가 없던 사람이 급성 심근경색으로 사망하는 경우가 대표적인 사례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다르다

협심증과 심근경색은 심혈관계 질환의 대표적인 유형으로 꼽힌다.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도 있지만, 명확히 다른 질환이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면서, 심장의 혈액 공급이 저하돼 가슴 통증이 발생하는 식으로 나타난다. 보통 격한 신체 활동이나 스트레스가 원인이 돼 발생하며, 처방된 약물을 복용하고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는 특징이 있다.

반면, 심근경색은 관상동맥이 갑작스럽게 막혀 혈액 공급이 차단되고, 이로 인해 심장근육이 괴사하며 기능의 일부가 정지하는 현상이다. 원인과 결과만 놓고 보면 유사할 수 있으나, 발생 과정 면에서 는 갑작스럽게 나타나는 심근경색이 더 위험도가 높은 셈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협심증 환자 수는 약 71만2천 명, 심근경색 환자 수는 약 13만9천 명이다. 협심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가 장기적으로 심근경색으로 발전할 수 있다는 점도 유념해둬야 한다.

 

심근경색 골든타임, 최대 2시간

관상동맥이 막혀 심근경색이 발생하면, 극심한 가슴 통증과 함께 심장 쪽에 쥐어짜는 듯한 통증이 온다. 심장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므로 누군가 목을 조르는 듯 숨이 차고 답답함을 느끼게 된다. 이런 통증이 몇 분 이상 계속되면 즉각 응급 조치를 받아야 한다.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최대 2시간 이내에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심장 근육의 괴사가 진행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받아야만 심장 근육의 기능을 보존할 수 있다.

변재호 교수는 “심근경색 환자의 절반 정도는 평소 별다른 증상이 없고, 건강검진을 하더라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라고 이야기했다. 전체적으로 혈관 상태가 건강하더라도 관상동맥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것이다.

 

혈관 건강, 꾸준한 관리 외에는 왕도가 없다

혈관은 우리 몸 전체에 퍼져 있다. 생명과 직결되는 중요한 혈관이든, 상대적으로 중요성이 덜한 말초 혈관이든 따로 나눠서 관리할 수는 없다. 오직 ‘전체 혈관 건강’을 고려한 관리 외에는 별다른 왕도(王道)가 없다는 뜻이다.

기본적으로 건강한 식습관과 생활습관 외에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 수치 등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지표들을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하도록 관리하는 것이 최선이다. 심근경색의 경우 가족력의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 중 심근경색으로 인한 사망 사례가 있는 경우, 급성 심근경색 위험이 3~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특히 주의가 필요하다.

변재호 교수는 “암 등 다른 중증질환과 달리, 심근경색은 신속하게 치료하면 대부분 회복할 수 있다”라며 “하지만 초기 대응이 미흡해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라고 이야기했다. 그는 심하다 싶은 가슴 통증이 발생하면 즉시 병원에 방문할 것을 당부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