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3월 24일(월)은 대한치주과학회가 지정한 ‘잇몸의 날’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다빈도질병 통계’에 따르면, 치주질환은 매년 외래 환자 수 1, 2위를 차지하는 다빈도 질환이다. 그만큼 잇몸 건강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며, 덩달아 잇몸 건강 관리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통계라고도 할 수 있다.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치주과 신승일 교수는 “치주질환은 누구나 한 번 이상 경험할 만큼 흔한 만성질환으로 당뇨병, 심혈관 질환, 뇌졸중과 같은 전신질환과도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적극적 치료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초기단계 치은염, 간과하면 치주염으로
치주질환은 잇몸 조직에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을 총칭하는 말이다. 입속 잔여물로부터 증식한 세균이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원인이다. 치주질환은 진행 정도에 따라 ‘치은염’과 ‘치주염’으로 구분된다.
치은염은 치아의 뿌리와 만나는 잇몸 안쪽에 국한돼 염증이 발생한 상태다. 치은염의 구체적인 증상으로는,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는 경우, 잇몸이 변색되거나 입냄새가 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치은염은 치주질환의 초기 단계로, 보통 간단한 치료로도 회복이 가능하다.
다만, 증상이 경미하다고 해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염증 범위가 잇몸뼈(치조골)를 포함하는 주변 조직으로 확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치은염에서 발전된 이 경우를 ‘치주염’이라 한다. 잇몸에 심한 통증이 느껴지고 치아가 흔들리거나 고름이 생길 수도 있다.
신승일 교수는 “치은염은 잇몸이 붓고 피가 나는 정도의 증상인 반면, 치주염은 조직이 파괴돼 잇몸뼈가 녹거나 이가 흔들리고, 심한 경우 발치까지 고려해야 할 수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신 교수는 “다만, 치주 조직의 손상 정도에 따라 치은절제술, 치조골이식술 등 다양한 외과적 치주수술로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의심되면 빠르게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치과에서 대다수 환자는 초기 증상을 대수롭지 않게 여겨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평소와 달리 잇몸이 붓거나 피가 나는 경우, 치아가 시리고 음식을 씹을 때 통증이 느껴지는 경우라면 반드시 치주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재발 위험 높은 ‘치주염’, 지속적 관리 필요
치주질환의 원인은 세균이다. 구강 위생이 청결하지 못하면, 유해균 증식과 함께 끈끈한 세균막(치태)가 형성된다. 치태는 시간이 지나면 돌처럼 딱딱하게 굳으면서 ‘치석’으로 변한다.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지 않고 계속 염증에 노출될 경우, 치료 후에도 치주질환이 재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치주 영역에서는 유지 관리 단계까지도 치료의 영역으로 간주한다.
신승일 교수는 “아무리 양치를 잘 한다고 하더라도, ‘치간부’라 불리는 치아 사이의 면은 접근이 어려워 완전히 치석을 제거하는 데 한계가 있다”라며 “치료가 끝났다 하더라도 3~6개월 정도 간격으로 치과에 방문해 재발 원인이 되는 세균성 치태와 치석을 제거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했다.
이어 신 교수는 “잇몸 건강을 지키는 확실하고 간단한 방법은, 특별한 증상이 없더라도 최소 연 1회 정기적인 검진과 스케일링을 받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잇몸 염증 빨리 낫는 법, 잇몸 염증 단계별 이해하기
구강 위생 관리가 미흡하면 잇몸 염증은 쉽게 발생한다. 그나마 초기에 해당하는 치은염은 통증이 심하지 않으므로 평상시 관리로 회복할 수 있다. 치주염으로 발전하기 전, 잇몸 염증 빨리 낫는 법을 알아본다. -
구내염 빨리 낫는 법, ‘원인’이 무엇인지에 주목
구내염은 많은 사람이 공감하는 성가신 질환이다. 구내염이 자주 생기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 '구내염 빨리 낫는 법'을 검색해봤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구내염이 생긴 '원인'을 바로 아는 것이다. -
입속 미생물군, 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와 관련 있어
입속 미생물군을 분석하면 인지장애 및 알츠하이머 위험이 있는지 짐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기됐다. -
음식 한 입 씹는 횟수, ‘뇌 건강’과 연결될 수 있어
‘식사는 최소 20분 이상 시간을 들이라’는 조언이 있다. 혹시, 이 조언을 잘 실천하고 있는가? 어떤 사람은 천천히 먹는 습관이 잘 배어 있어 전혀 어려움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식사를 천천히 하는 것을 어려워 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짧게는 10분~15분 이내에 식사를 마치는 사람도 많다.식사량 자체가 많지 않아 시간이 짧게 걸리는 사람도 분명 있다. 반대로 평균 혹은 그 이상의 식사를 하면서도 빨리 먹어치우는 사람도 있다. 혹은 자신의 식사습관 자체를 인지하지 못한 채 ‘그냥 먹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식사는 영양 섭 -
아주대 치과병원 채화성 교수, 교정치료 혁신 기술 아이디어 선보여
아주대학교 치과병원 채화성 교수(치과교정과)가 지난 3월 20일 스마트의료기기 상생포럼과 한국스마트의료기기산업진흥재단(KIMES)이 공동 개최한 ‘제 1회 상생포럼 의료진 의료기기 아이디어 공모전’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
‘급속 교정’으로 기나긴 치과 교정 치료 기간 줄일 수 있다
치아 교정 치료가 오래 걸리는 이유는, 치아 이동 과정에 동반되는 '잇몸뼈 리모델링'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이 속도를 빠르게 하는 '급속 교정 치료'에 관한 방법이 다방면으로 연구되고 있다. -
이대목동병원, 미국치과임플란트학회서 '우수 학생 연구자' 선정
이대목동병원 치과치주과 방은경 교수팀 소속 최희선 전임의가 '2025년 미국치과임플란트학회 연례학술대회'에서 전 세계 30인에게만 수여되는 '2025 Student Travel Grant'를 수상했다. -
구강암 치료와 구강암 예방, 급증하는 추세 경계 필요
최근 구강암 발병률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비교적 최근까지 구강암은 남성에게서 월등히 많이 발생했지만, 요즘은 여성의 구강암 발병 비율도 점점 높아지고 있어 경계가 필요하다. -
공복 입냄새는 왜 생길까? 그 의미와 관리법
일반적으로 침은 음식물이 들어왔을 때 활발하게 분비된다. 즉, 음식을 섭취하지 않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입 속이 마르게 될 가능성이 높다. 이것이 공복 입냄새의 기본적인 원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