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화여대목동병원(이하 이대목동병원) 김한수 병원장이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에 참여했다.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 긍정양육’ 슬로건으로 시행되는 이번 캠페인은 아동학대를 예방하고 긍정 양육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지난해 5월부터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이 진행하고 있다.
유광하 건국대병원장의 지목을 받아 캠페인에 참여한 김한수 이대목동병원장은 “아동학대는 단순히 아이에 대한 신체적 가해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정서적 학대, 방임 및 유기도 해당된다. 릴레이 캠페인을 통해 아동학대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예방을 위한 노력들이 이뤄졌으면 좋겠다”고 강조했다.
김한수 이대목동병원장은 다음 릴레이 캠페인 대상자로 이성규 대한병원협회장과 이금희 아나운서를 지목했다.
김한수 이대목동병원장은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의사로서 누구에게나 바라는 것은 잘 듣고 잘 말하는 것이다. 이번 캠페인을 통해 가정 내에서도 보호자와 아동이 상호 존중하는 양육 태도 및 문화가 정착되기를 바란다”라며 “여성과 아동의 건강한 삶을 지키는 것이 이화의료원의 가장 큰 소명이었던 만큼 긍정양육 문화 확산을 위해 이대목동병원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
-
"아동은 존중받아야 할 존재", 유광하 건국대병원장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참
유광하 건국대학교병원장이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이 주관하는 '아동학대 예방 릴레이 캠페인'에 참여했다. 유 병원장은 다음 주자로 이대목동병원장과 강동경희대병원장을 추천했다. -
비만 아동, 조기에 치료하면 더 효과적
비만 아동은 성인기까지도 비만을 가져갈 우려가 높다. 이를 조기에 치료하면 성인기 건강 문제를 덜 겪을 수 있고 사망 위험도 낮출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늘어나는 ADHD, 우리는 제대로 알고 있는가
최근 들어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는 추세와 함께 ADHD 진단 건수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에 비하면 많은 사람들이 ‘ADHD가 무엇인지 안다’라고 답할 것이다. 하지만 정말 알고 있을까?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ADHD라는 단어를 알고, 그것이 ‘주의력 결핍 과다행동장애’라는 질환의 약자라는 것을 아는 정도일 것이다. 하지만, 단지 단어를 아는 것만으로 그 질환을 안다고 할 수는 없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성년자 ADHD -
우리 사회 특성 반영한 ‘한국인 정신건강 척도’ 공개
국립정신건강센터(센터장 곽영숙)는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협력하여 ‘한국인 정신건강 척도’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우울, 불안, 스트레스 3종의 문제에 집중한 것으로, 우리나라 국민의 문화적, 정서적 특성을 반영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는 보건복지부 국립정신건강센터 연구개발사업의 연구비 지원을 통해 이루어졌다. 기존 정신건강 척도의 한계기존까지 사용되던 정신건강 척도로는 하버드 정신건강 설문지, 베크 우울 척도(BDI), 일반 불안 장애 평가 척도(GAD-7), 사회 불안 장애 평가 척도(SAD), 개인 스트레스 측정 척도(PSS -
이대목동병원, 2025년 '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 선정
이대목동병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2025년 1기 인증 연구중심병원에 공식 선정됐다고 밝혔다. 연구중심병원 인증은 오는 4월 1일부터 2028년 3월 31일까지 3년간 유지된다. -
한양대병원 이형중 병원장, ‘청소년 불법 사이버도박 근절 챌린지’ 참여
한양대학교병원 이형중 병원장은 최근 청소년 불법 사이버도박의 위험성을 알리고 예방을 위한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청소년 불법 사이버도박 근절 릴레이 챌린지’에 동참했다. -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아동학대예방 릴레이 캠페인’ 동참
아동학대예방 릴레이 캠페인은 아이를 있는 그대로 존중하고, 긍정 양육 인식을 확산하려는 취지로 지난해 5월 시작됐다. 지금까지 전국 각계각층 인사들이 취지에 동참하고자 릴레이 캠페인을 이어가고 있다. -
이대목동병원, 서울시여성가족재단과 업무협약 체결
이번 업무협약에 따라 이대목동병원과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은 여성장애인 건강권 보장과 양성평등 이슈 확산, 임직원 건강 및 성 인지 역량 증진을 위해 협력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