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손드 헬스는 자사가 개발한 ‘정신건강 음성 생체 지표(MFVB, Mental Fitness Vocal Biomarker) 플랫폼’이 정신건강에 위험 징후가 있는 개개인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구별할 수 있다는 사실이 코호트 연구를 통해 검증됐다고 밝혔다.
4주간 진행된 코호트 연구 결과, MFVB 플랫폼이 연구 참가자들의 음성을 기반으로 정신건강의 위험 증가 또는 감소를 식별한 결과와 임상에서 검증된 정신 건강 평가 도구인 M3 체크리스트의 결과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관계가 확인됐다.
피어 리뷰 저널 ‘Frontiers in Psychiatry’에 발표된 이번 연구는 음성 생체 지표가 우울증을 비롯해 스트레스 및 외상 관련 질환, 불안장애 관련 질환에 대한 임상 치료를 보완하고, 자가 모니터링을 개선할 수 있는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손드 헬스 MFVB 기술의 잠재력을 강조한다.
4주 동안 연구 참가자들은 손드 헬스의 ‘Mental Fitness’ 스마트폰 앱을 사용해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30초 길이의 음성 일지로 기록했다. MFVB 플랫폼은 이러한 자유 발화 녹음을 정신건강과 관련된 8가지 음향 특성(지터(Jitter), 쉬머 (Shimmer), 음높이 변이, 에너지 변이성, 모음 간격, 발성 지속시간, 발화 속도, 일시 정지 지속시간)으로 분석하고 0에서 100까지의 실시간 MFVB 점수로 산출했다. 80~100점은 ‘우수’, 70~79점은 ‘좋음’, 0~69점은 ‘주의하세요’로 분류된다. 그런 다음 해당 MFVB 점수를 참가자의 M3 체크리스트 결과와 교차 참조했다.
손드 헬스의 Clinical Development & Customer Success 부문 Erik Larsen 부사장은 “이 연구는 우리의 음성 기반 정신건강 추적 플랫폼인 MFVB가 정신적 안정을 측정하는 객관적 지표로써 검증됐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또한 “연구 결과는 음성 생체 지표가 예방적이고 확장 가능한 방식으로 정신건강에 대한 의미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려준다. 우리는 MFVB가 누구에게나 자신의 정신적 안정에 관해 강한 인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 가능하다고 믿는다. 이를 통해 개인이 건강한 습관을 기르고, 정신건강 위험을 선제적으로 완화할 수 있도록 장려할 계획이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MFVB 플랫폼의 정신건강 위험 징후 식별 능력에 더해 연구 참가자들의 긍정적 변화도 보고됐다. 약 40%의 참가자는 MFVB가 본인의 행동이나 생활 방식을 변화시켰다고 했고, 30%는 자신의 웰빙 안정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특히 참가자의 72%는 향후 자신의 정신건강 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MFVB 플랫폼 기반 ‘Mental Fitness’ 앱을 계속 사용하고 싶다고 밝혔다.
본 연구에 협력한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인지행동연구소(Cognitive Behaviour Institute, CBI)의 공인 심리학자이자 임상 책임자인 Lindsey Veneskey 박사는 “클리닉 방문 전 환자로부터 정신건강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는 MFVB 플랫폼은 환자의 증상을 모니터링하고 치료 계획을 최적화하는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며 “MFVB를 활용한 음성 기반 정신건강 추적 기술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클라이언트의 정신건강 상태에 대한 정확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를 매우 쉽고 편하게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연구는 인지 행동 연구소(CBI)에서 한가지 이상의 임상 검증된 우울증 증상을 가진 외래 정신과 환자 104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부터 8월 사이 4주 동안 ‘Mental Fitness’ 앱을 정기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뒤 평가했다. 현재 손드 헬스의 MFVB 플랫폼은 소비자용 헬스 모니터링 앱, 건강·생명 보험 앱, 오디오 웨어러블 기기, 자동차에 통합돼 사용되고 있다.
손드 헬스 소개
미국 보스턴에 본사를 두고 있는 손드 헬스(Sonde Health)는 음성 바이오마커를 통해 정신건강, 호흡장애, 인지장애 등 다수의 질환을 예측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까지 손드 헬스는 자체 기술을 활용해 30초 만에 사용자의 피로감, 우울 정도 등을 식별할 수 있는 ‘Mental Fitness’ 앱 및 6초 간의 사용자의 목소리를 통해 COVID-19를 포함한 호흡기 관련 질병의 위험 요소를 찾아낼 수 있는 ‘Respiratory Fitness’ 앱을 시장에 출시한 바 있다. 손드 헬스의 음성 바이오마커 기술은 2015년부터 약 8년 간 8만5000명 이상의 연구 대상자로부터 수집된 120만 개 이상의 음성 샘플데이터를 통해 개발됐으며, 현재 미국 내 5개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언론연락처:손드 헬스 국내사업개발팀 구가희 디렉터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국립나주병원, 근로자의 정신건강 케어 혁신 이끈다
국립나주병원(원장 윤보현)과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이원태)은 3월 12일(화) 오후 3시 국립나주병원에서 ‘근로자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국립정신병원 가운데 근로자 지원프로그램(EAP*) 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국립나주병원이 처음이다.* 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 근로자 지원프로그램) : 근로자들의 직무 만족이나 생산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들을 근로자 스스로가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번 업무협약은 양 기관이 공동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직장인을 -
서울시자살예방센터, 3월 12일 ‘2024 봄생명사랑캠페인 마음돌봄토크’ 개최
서울시자살예방센터는 봄철 자살률이 급증하는 ‘스프링 피크(Spring Peak)’ 현상을 예방하고자 ‘2024년 봄생명사랑캠페인 마음돌봄토크’를 3월 12일(화) 오후 7~9시 온·오프라인으로 진행한다.이 캠페인은 ‘우리는 어떻게 생명을 살릴 수 있는가?’를 주제로 한 강연과 대담회로 진행된다. 서울시자살예방센터 김현수 센터장, 나종호 예일대 정신의학과 조교수, YTN 라디오 김혜민 작가가 참여할 예정이다.1부 오프닝 토크는 ‘뉴욕 정신과 의사의 사람도서관’의 작가인 나종호 교수가 ‘자살은 극단적 선택이 아니라 사회적 책임이다’를 -
‘마음:단단’ 앱, 학부모를 위한 무료 심리상담 지원
씨엘엠앤에스의 심리상담 전용 모바일 앱 ‘마음:단단’은 다양한 사회적 이슈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적극적으로 협력하기 위해 맞춤 심리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이에 신학기를 맞아 학부모들을 응원하고자 특별한 무료 심리상담 이벤트를 진행한다.이번 이벤트는 학부모를 대상으로 3월 1일부터 한 달 동안 진행되며, 구글폼을 통해 간단한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마음:단단은 준비할 것이 많은 신학기에 학부모들의 마음 관리에 보탬이 되고자 무료 심리상담 이벤트를 기획했다고 밝혔다.이벤트의 주요 상담 주제는 다음과 같다.첫 번째는 ‘자녀의 학교생활 -
오송팜, 환인제약 항우울제 ‘에스시탈로프람정’ 일본 제네릭 의약품 허가 취득
건일제약 관계사인 의약품 일본 수출 전문 기업 오송팜(대표 김영중)은 2월 15일 일본 내 자회사 Brio Pharma를 이용해 SSRI계 항우울제 ‘에스시탈로프람정’에 대한 일본 의약품 및 의료기기관리청(PMDA) 허가를 취득했다고 밝혔다. 해당 품목은 중추신경계(CNS) 의약품을 전문적으로 연구 개발해 온 환인제약과 공동 개발 협약을 맺고 개발했다.오송팜은 2017년 일본 도쿄에 현지 법인 Brio Pharma를 설립하고 국내 최초로 일본 내 ‘제1종 의약품제조판매업’ 허가권을 취득했다. 2022년 8월에는 국내 제약 회사 가운 -
면역력 저하, 방치하면 안 되는 이유
면역력(免疫力, immunity)이란, 병(疫)에 대항하는(免) 힘을 말한다. 인간이 살아가는 환경은 생각보다 많은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고여 있는 물 웅덩이, 방치된 일회용 그릇 속 음식물 찌꺼기, 매일 사용하는 침구와 옷까지. 늘 우리 주위에 존재하는 자연스러운 것들에, ‘눈에 보이지 않는다’는 묘사로도 설명하기 충분하지 않을 만큼 작은 미생물들이 산다. 그들 중 어떤 것들은 병을 유발할 수 있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다. 그것들은 들이쉬고 내뱉는 호흡을 통해, 혹은 매일 먹고 마시는 음식을 통해 너무도 간단하게 우리 몸 안으로 들 -
삼성전자, 피트니스 밴드 ‘갤럭시 핏3’ 공개
삼성전자가 피트니스 밴드 신제품 ‘갤럭시 핏3(Galaxy Fit3)’를 공개했다.갤럭시 핏3는 전작 대비 약 45% 커진 40mm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한눈에 보다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알루미늄 바디를 적용해 내구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새롭게 적용된 원 클릭 밴드로 원하는 스타일의 워치 밴드로 쉽게 교체할 수 있다.얇고 가벼워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갤럭시 핏3는 100종류 이상의 운동 기록부터 수면, 스트레스 수준 등 다양한 건강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해 사용자가 자신의 건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 -
부천대학교 하나향기봉사동아리, 삼광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아로마 건강 증진 프로그램 봉사
최승완 부천대학교 교수(국제아로마테라피임상연구센터 대표)와 하나향기봉사동아리 회원들이 삼광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센터장 조재일)에서 2월 19일 아로마 손마사지 자원봉사를 진행했다.이번 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탁구, 포켓볼, 온열 치료 등 다양한 건강 장비와 여가 활동을 결합해 어르신들의 사회적 고립감을 해소하고 건강을 증진하고자 삼광재가노인지원서비스센터 치유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열렸다.하나향기봉사동아리(지도교수 최승완)의 아로마 건강 증진 프로그램은 스트레스 완화, 불면증 해소, 면역력 증진을 위해 블랜딩한 릴렉스 오일로 어르신께 아 -
이브자리, 세계 수면의 날 맞아 ‘현대인 수면 관리법’ 소개
토털 슬립 케어 브랜드 이브자리 수면환경연구소가 ‘세계 수면의 날(World Sleep Day)’을 맞아 현대인의 수면 관리법을 소개했다.국민건강보험공단 진료 데이터에 따르면 국내 수면장애 진료 인원은 2018년 약 85만5000명에서 2022년 약 109만8800명으로 4년 새 28% 늘어났다. 또 2019년 통계청 조사에서는 한국인 하루 평균 수면 시간이 7시간 22분이고 한국인의 16.4%는 6시간 미만, 44.4%는 7시간 미만 자는 것으로 나타났다.조은자 수면환경연구소 부소장은 “충분하고 질 좋은 수면은 누구나 평등하게 누 -
‘2024 릴랙스위크’가 제안하는 특별한 쉼… 나다운 휴식을 찾아서
건강한 마음챙김을 제안하는 멘탈 웰니스 축제 ‘2024 릴랙스위크(Relax Week)’가 오는 4월 한 달간 공식홈페이지(www.relaxweek.kr)와 전국 각지의 치유 공간에서 동시 개최된다.대한불교조계종이 주최하는 ‘2024 릴랙스위크’는 명상과 마음챙김, 정신건강 등에 관심 있는 모든 국민과 각 분야별 전문가들이 함께하는 웰니스 관련 축제의 장으로, 한국 명상 산업의 활성화 및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는 국내외 마음산업 네트워킹 활동 증진을 목표로 마련됐다.지난 2019년 ‘명상: 매 순간을 느끼는 습관’을 주제로 처음 시 -
발달장애인을 위한 의료서비스 거점, 전국적으로 확대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22일(금) 오후 2시 제주대학교병원(병원장 최국명) 발달장애인 거점병원·행동발달증진센터가 개소식을 갖고 운영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개소식은 22일(금) 오후 2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 1시간 30분에 걸쳐 진행됐으며, 제주대학교병원 대강당에서 국민의례 등 식순을 진행한 다음 약 30~40분간 행동발달증진센터를 둘러보는 순서로 진행됐다. 이날 행사에는 최국명 제주대학교병원장을 비롯해 오영훈 제주특별자치도지사와 김경학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의장, 보건복지부 장애인건강과 담당자가 참석했으며, 거점병원 중앙지원 -
건강한 학교생활을 위한 ‘중독없는 학교’ 만든다
국립나주병원(원장 윤보현)과 전남 보건고등학교(교장 박재홍)는 3월 25일(월) 오후 2시 국립나주병원에서 청소년 행위중독* 예방을 위한 ‘중독없는 학교’ 운영을 위해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s) : 도박, 인터넷, 게임중독 등 물질이 뇌에 직접 들어가지 않아도 어떤 행위와 과정이 뇌의 보상회로에 영향을 줘 중독 증상을 일으킴.청소년 행위중독은 알코올·약물중독과 달리 겉으로 드러나지 않아 실태 파악이 어렵고, 단순히 게임과 놀이문화로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있어 적절한 환경조성과 -
시립보라매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청소년 디지털 트라우마 회복지원 사업공유회’ 운영
시립보라매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는 지난 3월 22일(금) ‘청소년 디지털 트라우마 회복지원 사업공유회’를 성공리에 진행했다고 밝혔다.이번 ‘청소년 디지털 트라우마 회복지원 사업’은 2022년 이태원 참사 이후 디지털기기로 인한 청소년의 간접외상(대리외상)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상담 치료 필요에 따른 것으로, 청소년 디지털 트라우마 설문조사(2022~2023)를 통해 위험군 청소년을 선별하고 종합심리검사 및 상담을 진행했다.청소년 디지털 트라우마 회복지원 사업공유회에서는 서울시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서울시아이윌센터) 6개 센터가 함께 모 -
글로우픽과 크리마, 화장품 브랜드 대상 리뷰 연동 서비스 개시
모바일 뷰티 정보 제공 서비스 글로우픽(GLOWPICK)과 AI 리뷰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크리마(cre.ma)가 양사 간 협업을 발표했다.이번 협업으로 양사가 두 플랫폼 간의 브랜드 리뷰 정보를 공유하고, 많은 화장품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크리마 리뷰를 사용 중인 뷰티 브랜드는 글로우픽의 유저가 작성한 기존의 자발적 리뷰뿐만 아니라 주요 마케팅 상품인 ‘평가단’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신뢰도 높은 소비자 데이터를 크리마 리뷰로 자사몰에 손쉽게 연동해 노출할 수 있다. -
Workplace Options, 글로벌 업무 환경에서의 심리적 안정감 연구 결과 발표
종합 웰빙 솔루션 전문기관인 워크플레이스 옵션(Workplace Options, WPO)이 글로벌 업무 환경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연구한 결과를 발표했다.전 세계적으로 압박감이 고조되고 전에 없던 도전과제들이 속출하는 지금,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업무 환경이 조직의 회복 탄력성과 지속 가능한 성공을 구축하는 데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각계의 리더들은 모든 구성원의 목소리를 수용하고, 가치 있게 고려하고, 존중하는 신뢰와 개방성과 포용성의 문화를 함양할 필요성을 인정하고 있다.이는 경제적인 효과도 분명하다. 심리적 안정감은 직원 참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