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PS(Global Positioning System)는 오늘날 대표적인 위치 기반 추적 기술이다. 하지만 실내 공간에 있을 때는 추적이 되지 않거나 부정확한 결과를 내놓기 마련이다.
일반적인 경우라면 크게 문제될 일이 없다. 개인 사생활 문제를 고려하면 GPS가 부정확한 편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일상생활에 도움이 필요한 노인이나 환자라면 이야기가 다르다. 가정이든 요양 시설이든, 주변 사람들의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한 경우라면 실시간 위치 파악 기능이 필요하다.
캐나다 맥마스터 대학 연구팀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기반의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IPS)을 선보였다. 시제품 검증을 통해 하루종일 사용자의 위치를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추적할 수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IPS는 벽면 콘센트에 꽂을 수 있는 소형 무선 비콘과 웨어러블 블루투스 태그를 사용한다. 복잡한 설치 기술이 필요하지도 않고, 최적의 배치를 위한 위치 설계 등을 고려할 필요도 없다. 가정 또는 시설 곳곳에 있는 콘센트에 비콘을 꽂아두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다는 간편함이 최대의 장점이다. 설치 비용도 비콘 5개를 기준으로 200달러(현재 환율 기준 약 28만 원)로, 크게 부담되지 않는 편이다.
연구팀은 도시 외곽의 한적한 지역에 오래된 주택을 개조해서 만든 맥마스터 자체 연구시설(SHAPE)을 활용해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의 성능 실험을 진행했다. 블루투스 신호와 움직임 감지 센서를 결합해, 약 96%의 정확도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식별할 수 있었다. 이는 홀로 사는 노인들을 비롯해 위치나 움직임 등을 파악할 필요가 있는 사람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보인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병원이나 요양 시설과 같이 유동 인구가 많은 환경에서 유용할 거라고 이야기했다. 모니터링이 필요한 특정인의 위치 추적은 물론, 수량에 제한이 있는 의료기기나 장비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도 활용할 수 있어 범용성이 높다는 설명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오픈액세스 저널인 <플로스 디지털 헬스(PLOS Digital Health)> 에 게재됐다.
-
인공 지문 기술, ‘보안성’의 잠재력을 제시하다
서로 다른 두 사람의 지문이 똑같을 확률은 무려 640억 분의 1이라고 한다. 그보다도 훨씬 더 똑같을 확률이 낮은, 사실상 "한없이 0에 수렴하는" 인공 지문 기술이 개발됐다. -
초정밀 웨어러블 기기는 어디까지? ‘피부의 호흡’ 측정 기술 개발
노스웨스턴 대학 연구팀이 개발한 웨어러블 기기는 온도 변화와 수증기, 이산화탄소를 비롯해 피부에서 방출될 수 있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VOC)의 변화까지 측정할 수 있다. -
흘리는 땀이 적어도 분석 가능한 광학 바이오센서 패치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부 방창현 교수와 조수연 교수는 공동 연구팀을 꾸려 매우 미세한 양의 땀까지 수집, 측정, 분석할 수 있는 광학 기반의 점착 바이오센서 패치를 개발했다. -
복부 CT 영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 예측하는 AI 모델
서울대 의과학과 박상민 교수가 창업기업 자이메드(주)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CT 촬영 영상으로 심혈관질환 위험을 예측할 수 있는 AI 모델을 개발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