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은 오는 13일, 어린이병원 CJ홀에서 ‘온드림 희귀질환 전문 의료진과 함께하는 공개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는 희귀질환 ‘결절성 경화증’에 대한 치료 접근성과 연구 기반 확대를 위해 마련됐으며, 현대차 정몽구 재단(이사장 정무성)이 주최·후원한다.
‘결절성 경화증(Tuberous Sclerosis Complex)’은 뇌·콩팥·심장·피부 등 여러 장기에 양성 종양이 발생하는 유전성 희귀질환이다. 개인마다 증상이 천차만별이고, 뇌신경계 증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아 발달지연·뇌전증·자폐스펙트럼장애와도 연관이 깊다.
현재 국내에는 결절성 경화증의 치료 옵션이나 임상 정보에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다. 이에 이번 강좌는 질환 정보와 증상 관리 방법, 치료제 개발현황, 최신 임상연구를 공유하고 환자와 보호자의 치료 접근성을 넓히는 자리로 마련됐다.
강좌는 △결절성 경화증이란 어떤 질병인가요?(삼성서울병원 이지훈 교수) △신경증상 관리(서울아산병원 염미선 교수) △기타증상 관리(서울대병원 임병찬 교수) △해외 레지스트리 및 치료제 개발 현황 소개(충북대병원 김존수 교수) △환자단체 소개(결절성경화증환우회 박민옥 회장)로 구성된다. 희귀질환 전문 의료진뿐 아니라 환우회에서도 연자로 참석해 질환 관리법 등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지견을 공유할 예정이다.
임병찬 희귀질환 전문기관 사업단장(소아청소년과)은 “결절성 경화증은 유전성 특성과 다양한 질환이 맞물린 복합 희귀질환으로, 다학제적 접근과 맞춤형 치료가 필수”라며 “강좌를 통해 최신 연구를 공유하고, 연구 참여 기회를 확대해 환자의 치료 접근성과 선택의 폭이 넓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채종희 희귀질환센터장(임상유전체의학과)은 “희귀질환은 적은 환자 수만큼 정보나 치료 기회가 부족해 환자들의 고통이 깊은 질환”이라며 “이번 강좌가 환자·가족·의료진이 소통하며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고, 서로의 경험을 나누며 치료를 지속할 용기를 얻어가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강좌는 희망하는 누구나 웹페이지(https://forms.gle/WwpT9gRrEJEbmoi28)에서 참여 등록 후, 오프라인으로 참석할 수 있다.

-
보라매병원, ‘2025년 암 환자의 만성질환 관리 시민건강강좌’ 개최
‘2025년 암 정복 특집 시민건강강좌’는 보라매병원이 그동안 다져온 암 진료 역량을 시민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지난 3월부터 시작해 올해 12월까지 매월 1회씩 총 10회 진행 예정이다. -
4월 24일, 경희의료원-동대문구 아가사랑센터 '임산부 건강강좌' 개최
경희의료원이 오는 24일(목) 오후 6시에 동대문구 아가사랑센터에서 관내 임산부를 대상으로 한 건강 교실을 개최한다. -
서울성모병원, 2025 심부전 주간 기념 시민 강좌 개최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서 오는 25일(화) 오후 1시부터 3시까지 심부전 바로 알기 시민 강좌를 개최한다. -
국립중앙의료원, '다낭신 환자와 가족을 위한 환우교실' 개최
이번 교육은 다낭신 환자들이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식사를 포함한 건강관리법, 새로 도입된 약물 소개, 질환 정보 등을 주제로 진행되었다. 만족도 조사에서는 82%가 ‘매우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
서울대병원, 재택의료 전문가 양성하는 연수강좌 개최
최근 퇴원 후에도 인공호흡기·기관절개관 등 의료기기 이용이 필요한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서울대병원은 재택의료클리닉을 통해 2023년부터 매년 의료진 대상의 연수강좌를 개최하고 있다. -
서울대병원, 클라우드 기반 재해복구(DR) 센터 ‘BESTBunker!’ 개소
메인 센터에 재해가 발생할 경우 병원 운영 시스템을 DR 센터로 30분 이내에 신속히 전환할 수 있다. 그 결과 위기 상황에서도 환자 안전을 최우선으로 보장할 수 있다. -
서울대병원 이혁준 교수, 국제위암학회 차차기 회장 선출
국제위암학회의 차차기 회장으로 선출된 이혁준 교수는 서울대병원 위암센터장 및 위장관외과 분과장으로 재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