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은 인간의 감각에서 70~80%를 차지하는 기관이다. 그만큼 시각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는 것이다. 반대로 생각해보자. 그렇다면 시각에 뭔가 이상이 생기면 그것이 어떤 건강 문제를 나타내는 징후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실제로 눈은 다양한 질병을 드러내는 창구 역할을 한다. 물론 모든 질환을 다 알려주지는 못한다. 하지만 ‘중요하다’ 싶은 문제에 대해서는 상당히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 컴퓨터와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 화면을 많이 보고 사는 덕분에, 눈 피로를 느끼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하지만, 어쩌면 최근 당신이 겪은 증상이 단순한 눈 피로가 아닐지도 모른다.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의 검안학 교수 랑기스 미쇼(Langis Michaud)가 글로벌 미디어 ‘더 컨버세이션’에 기고한 내용을 재구성하여 전한다.
눈 질환 동반하는 당뇨
당뇨 인구는 해마다 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당뇨는 상당히 진행되기 전까지 뚜렷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병이다. 대사적으로 무언가 이상이 있다는 걸 느낄 수는 있지만, 대개 그것을 당뇨와 연관짓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정기적으로 혈액 검사를 받을 것을 권장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당뇨를 미리 확인할 수 있는 또 하나의 방법이 바로 ‘안구 건강 검사’다. 랑기스 미쇼 교수는 “당뇨의 다른 증상이 나타나기 전, 눈 뒤에서 당뇨의 특징적 병변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라고 이야기한다. 일반적으로 발병 후 5년 이상 시간이 지나면 눈에 병변이 보이는데, 이는 다른 당뇨 증상보다 먼저 발견되므로 보다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당뇨는 진행됨에 따라 ‘당뇨성 눈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높은 혈당으로 인해 눈으로 연결되는 미세혈관들이 손상되는 기전이 대표적이다. 적절한 시기에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채혈을 필요로 하는 혈액 검사와 달리, 안과 검사는 비침습적으로 이루어지므로 보다 부담이 덜한 검사 방법일 수 있다. 안구 건조 등 흔한 질환으로 인해 안과를 찾을 때, 해당 병변에 대한 검진도 받아볼 수 있을 것이다.
혈압과 콜레스테롤 수치 경고
눈은 인체에서 수술이나 침습적인 방법이 없이도 혈관을 ‘직접’ 볼 수 있는 유일한 장소다. 다른 부위의 혈관은 모두 피부 아래 간접적으로만 볼 수 있으니까. 즉, 혈관에 어떤 문제가 발생하면 눈을 통해 그 징후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미쇼 교수의 설명이다.
특히 고혈압이 심화되고 있을 경우, 혈관이 압축되면서 망막에 나타나는 어떤 징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혈압은 평소에도 비교적 간단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리 두드러지는 방법은 아니다.
반면, 혈관 내 콜레스테롤 침착도 눈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혈액 내 콜레스테롤 수치가 기준치를 넘어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를 말한다. 이는 혈관 내에 콜레스테롤 침착을 유발해, 혈관을 좁히거나 막히게 하는 원인이 된다. 혈관벽이 두꺼워지는 동맥경화 중에도 콜레스테롤이 원인이 되는 유형이 있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아지면 각막에 ‘지방 아크’가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눈 주위의 얇은 피부에도 ‘잔텔라스마’라 불리는 콜레스테롤 침착 증상이 나타난다. 외관상으로 보이는 현상으로, 안과 검진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들은 특별한 문제를 일으키지는 않지만, 잠재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예방을 위해 미리 관리를 시작할 것을 알리는 신호가 된다.
정상안압 녹내장
시야가 갑작스레 흐릿해진 적이 있는가? 눈동자를 돌려 주변부 시야를 점검했을 때 특정 방향이 보이지 않았던 적이 있는가? 혹은 때때로 눈이 뻐근하거나 불편함이 생겨 한동안 지속된 적이 있는가? 그렇다면 곧장 안구 정밀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녹내장은 안구 내 ‘방수(aqueous humor)’라는 액체가 과도하게 생성되거나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안압이 높아지면서 시신경에 손상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일반적으로 초기에는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환자 본인도 잘 인지하지 못하지만, 시간이 지나며 시야가 점점 줄어든다. 그 속도가 아주 느리기 때문에 잘 눈치채지 못한다. 살이 찌거나 빠지는 모습을 매일 거울을 보는 것으로 알아차리기 어려운 것과 같은 이치다.
녹내장은 안압이 정상일 때도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는 안구 압력이 정상적으로 유지되므로 눈의 뻐근함이나 불편함은 없다. 하지만 시신경 손상은 진행되기 때문에 시야는 점점 터널 시야처럼 줄어들게 된다.
암이 나타날 수도
‘망막모세포종’은 눈에 영향을 미치는 암종이다.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악성 종양이지만, 성인이라고 해서 발생하지 않는 것은 아니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미쇼 교수는 이 망막모세포종이 폐와 간 등 다른 장기로 전이될 수 있다고 경고한다. 대부분의 암이 그렇듯, 망막모세포종 역시 조기 발견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망막에 ‘곰발’ 모양으로 나타나는 색소 침착은 대장암과 연관될 수 있으며, 늦어지면 예후가 매우 좋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미쇼 교수의 설명이다.
시야에 발생하는 문제는 매우 흔하고 다양하다. 이 때문에 환자는 단순하게 보이는 시야 문제는 짐짓 사소하게 여겨 넘어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러나 눈은 매우 예민한 기관이기 때문에, 시야에 어떤 문제가 생겨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검진을 받아봐야 한다. 때때로 뇌종양이나 신경 섬유 압박 등의 문제가 시야 이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시로 안구 운동을 하면서 눈이 피로하거나 경직되지 않도록 관리해주는 것은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습관 중 하나다. 만약 눈 움직임이 매끄럽지 않거나, 이중 시야가 발생하거나, 글씨 또는 주위 풍경이 흐릿하게 보일 경우 가볍게 여기지 말고 바로 안과 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
감각의 80%를 차지하는 눈, 건강하게 해줄 음식은?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평균 수명이 확연하게 길어진 요즘, 평상시 꾸준한 건강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인의 건강은 누군가 대신 챙겨주는 것이 아니므로, 스스로 관심을 갖고 챙기는 게 최선이다.건강이야 모든 부분이 중요한 법.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지만, 각자 더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좀 더 관심을 갖게 되는 분야는 있을 것이다. 뇌 건강이나 혈관 건강처럼 보편적으로 관심을 갖는 곳일 수도 있고, 개인적으로 평소 좋지 않은 곳이 있어 특히 신경 쓰는 곳도 있을 것이다.눈은 어떨까. 감각기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
잠들기 전 스마트폰 삼매경, 습관이 아닌 심리적 문제
잠자리에 들기 전, 당신의 스마트폰은 어디에 있는가? 머리맡에 있는가? 아니면 책상 위 충전기에 연결돼 있는가? 둘 다 아니라면, 잠들기 직전까지 스마트폰을 보다가 자신도 모르게 잠에 빠져드는 경우인가?인정한다. 편안한 자세로 자리에 누워 스마트폰으로 재미있는 콘텐츠를 찾아보는 것은 확실히 즐겁다. 짧은 영상이나 SNS, 웹툰, 흥미로운 뉴스를 연이어 보거나 즐겨찾는 커뮤니티 게시판을 둘러보는 것 등 스마트폰으로 할 수 있는 일은 무궁무진하니까.깜깜한 상태에서 스마트폰을 바라보는 건 눈 건강에도 그렇고 숙면에도 그렇고 여러 모로 좋 -
눈을 혹사시키지 않기 위한 6가지 방법
우리의 눈은 항상 혹사당한다. 감각을 통해 정보를 받아들이는 데 있어 시각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탓이 크다. 컴퓨터나 스마트폰 화면을 보는 일, 운전을 하며 전후좌우를 수시로 살펴야 하는 일 등은 기본적으로 눈의 피로를 유발할 수밖에 없는 행위들이다.이로 인해 시력이 떨어지거나 수시로 안구 건조가 오는 등의 문제가 일상적으로 발생한다.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이런 증상들이 누적돼 안압을 증가시키거나 시신경에 손상을 일으키는 등 보다 심각한 문제로 발전할 수도 있다.눈을 뜨고 살아가는 이상 눈의 피로는 따라올 수밖에 없는 -
눈 근육 피로 잡고, 안구건조부터 시력 저하까지 예방하자
시각은 우리의 감각기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전체 감각 정보의 80% 가량을 차지한다고 할 정도다. 눈을 움직이고 초점을 맞추기 위해 눈 근육은 쉴새없이 움직이게 된다. 달리 말하면 눈을 뜨고 있는 시간 동안 눈 근육은 지속적인 부담을 짊어진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게다가 현대인은 컴퓨터나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시간이 많다. 단순히 시각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만으로도 이미 과도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데, 전자기기 화면을 바라보는 시간이 많으니 한층 더 피로할 수밖에 없다.누구나 한 번씩 일과 도중 눈이 건조해지거나 충혈되거나 한 -
당뇨, 불과 100여 년 전까지 불치병이었다?
인슐린(insulin)은 우리에게 너무 익숙한 단어다. 하지만 인슐린이 발견된 것은 이제 100년을 조금 넘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1920년이 넘어서야 실험이 시작됐고, 인간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치료 성공 사례는 1922년이었다. 즉, 실제로 ‘인슐린’이라는 이름이 역사에 등장한 것은 이제 겨우 100년을 조금 넘은 셈이다. 이후 1923년 10월, 인슐린을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프레드릭 벤팅과 존 맥클라우드가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인슐린이 발견됨으로 인해, 치명적인 불치병으로 여겨졌던 당뇨의 정복이 시작됐다. 아울 -
내가 알고 있는 내 혈압, 과연 정확할까?
최근 질병관리청에서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성인 중 약 2천만 명이 고혈압 위험군에 해당한다. 비율로는 57.1%다. 두 사람 중 한 명 꼴로 고혈압 위험군이라는 의미다. 이 글을 쓰며 생각해보니, 본인 역시 그 둘 중 한 명이라는 생각도 든다.요즘은 동네 병원에서도 혈압 측정장비가 갖춰져 있는 경우가 있어, 혈압을 쉽게 측정해볼 수 있다. 혈압 문제가 있음을 자각하고 있는 경우, 가정용 혈압 측정장비를 구비해두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자신이 측정한 혈압이 과연 정확한 것인지 의심해본 적이 있는가? 측정하는 방법 -
이유 없이 손발이 저리다면? 말초신경질환 의심
일상에서 손과 발의 저림 증상은 흔하게 겪는 일이다. 손과 발, 혹은 팔과 다리가 눌리는 자세를 유지하다가 어느 순간 감각이 무뎌지거나 저리는 경험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딱히 어딘가에 눌리지 않았는데도 감각이 무뎌지거나 저리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럴 때면 불안해지게 마련이다. 갑작스레 찾아오는 손발의 무뎌지는 증상, 왜 그런 걸까? 신경계통의 구조 이해하기‘저리다’라는 감각은 신경계의 소관이다. 우리 몸의 신경계는 크게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으로 나뉜다. 중추신경은 주요 줄기에 해당하는 뇌와 척수를 가리킨다. -
고혈당과 저혈당, 혈당 문제 겪지 않으려면?
고혈당과 저혈당은 모두 문제가 된다. 적절한 혈당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