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의료기술 발전 등으로 평균 수명이 확연하게 길어진 요즘, 평상시 꾸준한 건강관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인의 건강은 누군가 대신 챙겨주는 것이 아니므로, 스스로 관심을 갖고 챙기는 게 최선이다.

건강이야 모든 부분이 중요한 법. 어느 것 하나 소홀히 할 수 없지만, 각자 더 중요하게 생각하거나 좀 더 관심을 갖게 되는 분야는 있을 것이다. 뇌 건강이나 혈관 건강처럼 보편적으로 관심을 갖는 곳일 수도 있고, 개인적으로 평소 좋지 않은 곳이 있어 특히 신경 쓰는 곳도 있을 것이다.

눈은 어떨까. 감각기관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시각이다. 통상적으로 외부에서 얻는 정보의 약 80%가 눈을 통해 들어온다고 할 정도다. 실제로 뇌에서 ‘시각 피질’이 차지하고 있는 영역도 매우 넓다.

눈 건강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당신은 무엇을 알고 있는가? 또 무엇을 실천하고 있는가? 혹시 ‘딱히 없다’라고 답했다면, 눈 건강에 좋은 음식이라도 챙기는 습관을 들여보도록 하자.

 

등푸른 생선

등푸른 생선은 ‘붉은살 생선’이라고도 불린다. 고등어, 꽁치, 삼치 등이 대표적이고, 청어와 정어리, 참치, 전갱이 등도 이 카테고리에 해당한다.

이들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가장 잘 알려진 영양분은 DHA, EPA와 같은 오메가3 지방산이다. 대표적인 불포화 지방산인 오메가3는 망막의 건강을 유지하고 안구건조증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준다. 

 

녹황색 과채류

당근을 비롯한 황색 채소, 시금치나 브로콜리를 비롯한 녹색 채소를 통틀어 녹황색 채소라 한다. 당근을 포함한 노란색, 주황색 계열의 과일이나 채소에는 비타민 A가 풍부하다. 

비타민 A는 망막에서 빛을 감지하는 ‘로돕신’이라는 색소를 생성하는데 필요하다. 비타민 A가 부족할 경우 야맹증을 유발해 어두운 곳에서 시각 적응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한편, 시금치와 브로콜리, 케일 등에는 루테인과 지아잔틴이 함유돼 있다. 눈 건강을 위한 영양제에서 흔히 접해봤을 이들은 눈의 ‘황반’이라는 부분에 집중적으로 존재하는 항산화제다. 소위 말하는 블루라이트(청색광)로부터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고, 황반변성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베리류

블루베리와 같은 베리류 과일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안토시아닌 성분이 풍부하다. 항산화 작용을 통해 눈의 노화를 늦추는 것은 물론, 많은 정보를 받아들이느라 쉽게 피로해지는 눈을 회복시키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아몬드와 해바라기씨

아몬드와 해바라기씨에는 역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비타민 E가 다량 함유돼 있다. 지용성인 비타민 E는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백내장, 녹내장 등 눈에 발생할 수 있는 퇴행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구기자와 결명자

구기자는 한의학에서도 눈의 피로와 안구건조를 치료하기 위해 흔히 쓰이는 핵심 약재다. 한의학에서는 눈 건강을 간과 연결지어 살펴보기도 하는데, 구기자는 간에 쌓인 열을 식혀주고 눈의 피로를 해소하는데도 도움을 준다. 눈에 충혈이 발생했을 때 이를 완화하거나 예방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마찬가지로 결명자 역시 눈의 회복을 위해 널리 쓰인다. 결명자(決明子)라는 말 자체가 ‘밝음을 결정하는 씨앗’, 즉 눈을 좋게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