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주얼 스노우(Visual Snow)’라는 증상이 있다. 눈앞에 점이나 선이 떠다니는 것 같은 현상을 가리킨다. 명칭 자체는 꽤 생소하게 다가올 수 있지만, 실제로 나타나는 증상은 그리 낯설지 않다. 비주얼 스노우의 정확한 정의 및 비주얼 스노우 증상 등에 대해 알아본다.
비주얼 스노우 증상
비주얼 스노우라는 이름은 환자들이 표현하는 증상의 특성을 반영한 것이다. 단어 의미 그대로 ‘눈앞에 눈이 내리는 듯한 느낌’을 경험한다고 해서 붙은 명칭이다. 다만, 눈이 내리는 듯한 느낌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흔히 나타나는 증상 중 하나는 눈앞에 작은 점이나 선이 떠다니는 듯한 현상이다.
이밖에 비주얼 스노우 증상으로는 ‘광민감성’과 ‘시각 왜곡’을 들 수 있다. 빛에 대한 민감성이 커져서 다소 밝다 싶은 환경에 예민해지거나 불쾌감을 느낄 수 있으며, 물체의 크기가 형태가 실제와 다르게 보일 수 있다는 것이다.
또, 밤 시간대나 어두운 장소에서의 시력이 저하되는 증상,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보는 이른바 ‘동체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비주얼 스노우 증상은 하나하나만 떼어놓고 보면 그다지 심각해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여러 증상이 한꺼번에 나타난다고 하면 일상생활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비주얼 스노우 원인
비주얼 스노우 증상이 나타나는 원인은 아직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의료계에서는 신경학적 요인으로 시각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주요 원인으로 보고 있다. 또한, 유전적 요인, 즉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편두통이나 각종 정신건강 질환과의 연관성도 제기되고 있다.
비주얼 스노우 증상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환자 본인이 자신의 증상을 가급적 상세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눈앞에 떠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 점이나 선의 형태인지, 혹은 그 외의 다른 형태인지를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그 외의 다른 시각 관련 증상이 나타나는지도 진술하는 것이 좋다.
가장 중요한 것은 증상이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그리고 한 번 발생했을 때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 그로 인해 일상생활에 어떤 지장을 받고 있는지도 전문의 입장에서는 중요한 정보가 될 수 있다.
비주얼 스노우 증상으로 인해 병원을 찾기 전, 위와 같은 내용에 대해 기록을 해두면 좋다. 특히 증상 발생 전 어떤 상황이었는지 등을 기록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된다. 기존에 신경과 관련 진단이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지, 가족 중에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이 있는지와 같은 부수적 정보도 함께 전달하는 것이 좋다.
비주얼 스노우 연구 현황
비주얼 스노우는 신경안과 분야에서 난치병으로 꼽힌다. 비주얼 스노우 증상은 물론 개념에 대한 인지도 자체가 높지 않은 만큼, 현재로서는 구체적인 치료 방법도 제한적이다.
다만, 국내에서도 전문가에 의한 비주얼 스노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건국대학교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가 지난 12월 2024년 아시아 신경안과학회에서 ‘동아시아 비주얼 스노우 환자 임상 양상’을 주제로 최우수 구연상을 수상한 바 있다.
신현진 교수는 최근 ‘북미신경안과학회(North American Neuro-Ophthalmology Society, NANOS)’ 펠로우 멤버로 선출됐으며, 이를 계기로 삼아 국내 신경안과학 발전에 더욱 기여하겠다는 소감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신 교수는 미국 비주얼 스노우 이니셔티브(Visual Snow Initiative(VSI)’에서 주관하는 마스터 클래스를 수료하고, 현재 비주얼 스노우 치료를 위한 전자약 임상을 진행 중이다. VSI는 미국에서 비주얼 스노우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관련 연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비영리 단체다.

-
눈이 충혈되는 이유, ‘눈 비비는 습관’부터 고쳐라
눈이 충혈되는 이유는 본질적으로 보면 혈관의 비정상적 확장이다. 혈관이 확장되는 이유는 염증이나 감염, 또는 물리적 자극이다. 특히 무의식적인 눈 비비기는 물리적 자극의 대표적인 예다. -
눈 건조증 해결 방법, 습도 및 밝기 조절과 휴식 시 눈 운동
눈 건조증 해결 방법, 평소 실내 습도 유지하고 화면 밝기와 조명을 적당히 낮춘다. 증상이 생기면 따뜻한 손으로 지그시 눌러주면 좋다. -
젊은층 백내장 증가… 자외선·블루라이트 노출 조절하려면?
백내장은 보통 눈 노화에 따라 발생하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들어 40~50대에서의 백내장 발생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다. 일반적으로 눈의 노화가 충분히 진행되지 않을 연령대에도 발병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는 것이다.젊은층에서의 백내장 발병 추세는 앞으로 더 뚜렷해질 거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유는 간단하다. 눈 피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특히 지금 30대 중반의 경우 어린 시절 TV부터 시작해 나이가 들면서 컴퓨터와 스마트폰을 접하기 시작한 세대다. 그보다 더 젊은 세대는 보 -
눈 밑 떨림 원인은 피로 누적, ‘멀리 보는 습관’ 만들기
화면을 집중해서 쳐다볼 때, 불현듯 눈가가 파르르 떨릴 때가 있다. 특히 아래쪽 눈꺼풀에서 자주 발생하곤 한다. 눈 밑 떨림의 원인은 주로 신체적 피로, 정신적 피로, 눈 피로 누적이다. -
하지정맥류 치료를 고려한다면?
하지정맥류 하면 흔히 종아리 혈관이 튀어나오는 모습을 떠올린다. 하지만 혈관이 돌출되지 않아도, 수면 중 근육경련 등 증상이 있을 경우 검사가 필요하다. 건국대학교병원 팔다리혈관센터장 박상우 교수의 조언이다. -
건국대병원, ‘펄스장 절제술’ 첫 시술 마쳐
건국대병원이 심방세동 치료의 최신 기술인 '펄스장 절제술(PFA)'을 첫 시술했다. 지난 21일 건국대병원에서 열린 워크숍을 통해, 부정맥 치료 분야 권위자인 美 미탈 박사와 공동 시술했다. -
손상된 시력 회복 가능하게 하는 ‘망막 치료제’ 개발 중
인간의 망막은 스스로 회복하거나 재생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망막에 질환이 발생하면 손상된 시력 회복이 불가능해진다. 하지만 이를 가능하게 바꿔줄 수 있는 원리가 제기됐으며, 이를 활용한 치료제가 개발 중에 있다. -
동체 시력이 좋으면 인지 기능에도 도움 된다
동체 시력이란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를 인식하고 추적하는 능력을 말한다. 동체 시력은 일상생활은 물론 뇌 건강에도 도움이 된다. -
건국대병원 신현진 교수, APAO 2025 학술공로상 수상
건국대학교병원 안과 신현진 교수가 제40회 아시아태평양안과학회에서 '학술공로상'을 수상했다. 눈근육 줄기세포 재생치료 기술, 안면 해부 연구, 사시 수술 장치 개발, 비주얼 스노우 연구 등 다양한 연구 실적을 인정받은 결과다. -
꽃구경 후 가렵고 충혈되는 눈, '알레르기 결막염' 주의
알레르기 결막염 초기 증상 완화를 위해서는 온찜질보다는 냉찜질이 적합하다. 눈이 충혈되고 가려울 때 온찜질을 할 경우 혈관이 확장돼 더욱 붉어질 수 있다. 냉찜질은 눈의 부종과 가려움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어 효과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