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러스의 표면에 위치한 당분은 바이러스가 면역 체계를 회피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당분이 바이러스의 외부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체내 정상적인 세포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체내 면역 시스템은 바이러스를 잘 인식하지 못할 수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 소재의 스크립스 연구소(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TSRI)는 지난 23일(일)부터 진행 중인 미국 화학학회 춘계 학술회의(ACS Spring 2025)에서 바이러스 표면의 당분을 표적으로 삼는 범용 백신에 대해 발표했다.
‘범용 백신’으로서의 가능성
TSRI 연구팀은 동물 연구를 통해 이 백신의 효과를 검증했다고 밝혔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영역에서 당 분자를 제거하고 바이러스를 불활성화하는 항체를 생성했다는 것이다. 이는 한 번의 예방 접종으로도 변이 바이러스에까지 대응할 수 있는 저항력을 갖출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어떤 감염병 백신은 평생 단 한 번만 접종을 받으면 되는 데 비해, 독감과 같은 바이러스는 매년 새로운 예방 접종을 필요로 한다. TSRI의 화학 교수인 치후이 웡에 따르면, 이는 SARS-CoV-2와 같은 바이러스가 복제 과정에서 높은 돌연변이율을 갖기 때문이다. 특히 바이러스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에서 일어나는 돌연변이로 인해 계속 새로운 백신을 필요로 했다는 것이다.

바이러스의 ‘기본 구조’를 표적화
치후이 웡 교수의 연구팀이 개발한 백신은 돌연변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 바이러스 내 스파이크 단백질의 ‘줄기 영역’을 표적으로 한다. 이 줄기는 ‘글리칸’이라고 하는 당 분자 사슬로 코팅돼 있으며, 이 코팅이 면역 체계의 인식과 공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의 백신은 이른바 ‘저당(low-sugar) 백신’으로, 줄기를 보호하는 당 분자를 표적으로 삼는다. 연구팀은 햄스터와 쥐 등을 대상으로 한 동물 연구에서, 저당 백신으로 SARS-CoV 변종 뿐만 아니라 MERS-CoV(메르스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더욱 다양한 항체를 생성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이 백신이 범용 백신으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며, 코로나 바이러스에 대해서도 효과를 발휘할 거라고 말했다.
저당 백신 기술, 암 치료 연구에도 활용
한편, 치후이 웡 교수 연구팀은 저당 백신을 개발한 기술을 응용해 다양한 유형의 암을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개발하고 있다. 암 세포에도 특정 단백질이나 항원이 존재하기 때문에, 이들을 표적으로 하여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이다.
특히 줄기 영역을 표적으로 하는 저당 백신의 접근법은 ‘변이가 적은 영역을 겨냥한다’라는 근본적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암 세포가 변이를 일으키더라도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다. 또, 다양한 면역 회피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난치성 암 세포에게도 효과를 기대해볼 만하다.
연구팀은 이 암 치료를 위한 범용 백신 연구가 어느 정도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최근 암 세포의 글리칸 표적에 관한 연구, 그리고 암 세포의 글리칸 합성과 관련된 효소에 대한 연구를 발표했다고 이야기했다.

-
국산 mRNA 백신 개발을 위한 대규모 연구사업 시작
질병관리청은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에 대비하기 위해, 자체 백신 플랫폼을 확보하고자 국산 mRNA 백신 개발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2028년까지 4년간 총 사업비 약 5천억 원 규모의 대형 연구사업이다. -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에도 강한 차세대 백신후보 발굴
팬데믹이 끝나고도 적지 않은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코로나 바이러스는 끈질긴 생명력을 발휘하고 있다. 아주대 의대 연구팀이 코로나 바이러스를 원천 봉쇄하기 위한 '범용 백신' 후보물질을 찾아냈다. -
냉장 보관 필요 없는 백신 제조법 개발
대부분의 백신은 냉장 상태에서 보관·유통해야 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이 필요 없이 상온 보관 가능한 백신 제조 기술이 등장했다. -
항체 없어도 T세포로 예방 가능, 백신 접종 횟수 달라질까?
황열병 백신으로 일본뇌염 감염을 막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런 방식이 다른 백신에도 적용될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진다. -
‘선천성 척추이분증’ 발생 원인, 세계 최초로 규명
신생아 3천 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선천성 질환 '척추이분증'의 발생 기전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연세대 김상우 교수팀은 미국 캘리포니아 대학 연구팀과 협력해 전 세계 환자와 가족들의 유전자를 분석했다. -
대한면역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개최
대한면역학회가 오는 4월 10일(목)부터 11일(금)까지 양일간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 광개토관에서 2025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초심자부터 베테랑까지 모두를 위한 맞춤형 세션을 준비했다는 입장이다. -
장기 코로나 증상 해결 가능성 제시한 세계 최초 후보물질
PASC, 이른바 장기 코로나로 알려진 이 증상은 코로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뒤 몇 주, 심하면 몇 달 동안 증상이 완화되지 않고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최근 호주의 다학제 연구팀이 이에 대한 해결 가능성을 내놓았다. -
독감 확산 예방도 가능, 독감 치료제 ‘조플루자’ 효능 추가 확인
인플루엔자(독감) 치료제를 투여할 경우, 가족 등 가까운 접촉자에게 독감 바이러스가 전파될 확률이 약 30%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NEJM 저널에 실렸다. 또한, 조류 독감 확산 예방에도 효과가 있을 거라는 예측도 제기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