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면역학회(회장 이갑열)는 오는 4월 10일(목)부터 11일(금)까지 이틀에 걸쳐 서울 세종대학교 컨벤션센터 광개토관에서 '2025년 춘계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번 학술대회는 '면역학의 오늘과 내일'을 통찰하는 지적 전투의 장이 될 것이다. 초심자부터 베테랑까지 모든 면역학자를 위한 맞춤형 세션이 준비돼 있다.
첫째 날에는 ‘FACS의 기초와 심화’, ‘Imaging 원리 및 최신기법’ 등 면역학 실험실의 무기고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는 교육 세션이 마련돼 있다. 현장 중심의 노하우와 최신 테크닉이 응축된 강의로, 실질적인 연구력 강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New Faculty Session’과 ‘Young Investigator Session’에서는 새로운 시선과 패기가 충돌한다. 신규 임용된 교수진과 차세대 연구자들이 자신만의 독창적인 데이터를 들고 무대에 오르며, 학계의 미래를 미리 체감할 수 있다.
둘째 날에는 면역학계의 중추를 담당하는 연구자들이 등장한다. 선천면역, 후천면역 분야에서의 최신 성과와 함께 면역계의 미세한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고차원적 해석이 이어질 예정이다. 이 세션은 논문보다 빠르고, 리뷰보다 날카롭다.
자가면역, T세포, 점막면역 등 학회 산하 연구회 세션과 유관 학회 공동 심포지엄도 예정돼 있어 기초부터 응용까지 자신만의 연구 영역을 심화시키는 기회가 된다. 일본, 중국 등 해외 연구자와의 교류 세션은 국제 공동 연구의 물꼬를 트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실질적인 접점을 제공한다.
사전등록은 3월 31일(월)까지 공식 웹사이트(https://2025spring.kaimm.org)를 통해 가능하며, 현장 등록도 가능하다.
이갑열 대한면역학회장은 “이번 춘계학술대회는 그저 듣는 자리가 아니라 질문하고 도전하고 연결하는, 연구자들의 ‘무대’가 될 것”이라며 “면역학의 흐름을 바꾸고자 하는 모든 연구자들의 참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면역학회(KAI)는 1974년 7월 창립했으며, 기초 면역 및 임상 면역 분야의 학술 발전에 기여하고 보건의료 진흥 및 공중보건 증진을 목표로 활동하고 있다. 현재 5천여 명의 회원이 활동하고 있으며, 국제 학술지 <면역 네트워크(Immune Network, IF=4.3)>를 발행하고 있다.



-
건국대병원 정소정 교수, 비만 예방과 치료의 생애주기적 접근 강조
건국대병원 소아청소년과 정소정 교수가 대한비만학회 춘계 학술대회에서 '문석학술상'을 수상했다. 인간의 생애주기 전반에서 비만의 생리적 적응 개념을 바탕으로 한 예방과 관리의 중요성을 다룬 연구 공로다. -
바이러스 단백질의 ‘줄기 부분’ 공격하는 범용 저당 백신
어떤 백신은 평생 한 번만 맞으면 되지만, 어떤 백신은 매년 맞아야 한다. 이는 바이러스의 돌연변이 때문이다.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가능성을 갖춘 '범용 백신'이 미국 화학협회 학술대회에서 발표됐다. -
단백질 변형 기술의 한계를 깬 ‘선택적 정밀 변형’ 기술 제시
단백질 변형 기술은 의료계 및 학계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방법이다. 기존 단백질 변형 기술이 가지고 있던 몇 가지 한계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접근법이 포스텍 연구팀에 의해 구현됐다. -
에스엔이바이오, 모야모야병의 비수술적 요법 치료 가능성 제시
에스엔이바이오에서 개발 중인 줄기세포-엑소좀 치료제 ‘SNE-101’의 모야모야병 환자에 대한 적용 가능성과 비임상 연구 결과가 지난 2월 ISC 2025 심포지엄에서 발표&논의됐다. -
강동경희대병원 장윤태·이병학 방사선사, 국제학술대회 수상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영상의학과 장윤태, 이병학 방사선사가 지난 3월 22일(토)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KIMES & 서울특별시 방사선사회 제59차 국제학술대회’에서 서울특별시장 표창과 SRTA 학술대상을 각각 수상했다. -
유승돈 교수,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이사장 취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유승돈 교수가 대한뇌신경재활학회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2025년 4월 1일부터 2027년 3월 31일까지 2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