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크래프트가 AAV (Adeno-associated virus) 관련 기술 개발 및 관련 특허를 확보하면서 자사 유전자치료제 플랫폼 기술 확장에 속도를 낸다.
진크래프트의 유전차치료제연구소와 혁신기술연구소는 AAV의 유전자 발현율을 개선하기 위해 AAV 내부 유전체 구조인 ITR (inverted terminal repeats) 구조를 독자적인 기술로 개량해 새로운 형태의 AAV-ITR을 형성시키는 ‘GC-modITR’ 기술을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AAV는 자체 복제가 불가능한 작은 바이러스 벡터로, 비교적 짧은 연구 역사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안전성에 힘입어 최근 다수의 신약 개발이 이뤄지고 있다.
진크래프트는 GC-modITR 기술이 AAV의 유전자 발현 효율을 최적화해 탑재 유전자의 발현 효율을 최대 10배까지 끌어올렸으며, 유전자 발현 속도도 3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또한 GMP 제조 공정 중 동일 조건에서 Full/Empty 비율이 기존 10~30% 내외이던 것을 80~90%까지 끌어올려 AAV 기반 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생산에 혁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진크래프트는 GC-modITR 기술에 대해 미국 특허를 지난 2월 등록했으며, 현재 전 세계 특허 확보를 진행 중에 있다. 진크래프트의 사내 변리사역을 담당하고 있는 김우진 CSO는 “이 특허의 경우 세계 최초 기술로, ITR 변형 구조에 대한 광범위한 특허를 확보한 것이 특징”이라고 강조했다.
진크래프트는 최근 유전자치료제 개발 업체의 대부분이 AAV의 겉껍질(Capsid) 개량 기술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에서 AAV의 고유 유전체 구조인 ITR을 개량한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2개에 불과하며, 진크래프트의 기술은 3번째 독창적인 ITR 기술을 선보이는 한편 선행 ITR 기술에 대비해 유전자 종류에 따라 3배 이상의 발현율을 보일 수 있다고 자부했다.
한편 AAV 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생산에 최적화된 기술의 개발은 2024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발표한 국가 4개 소부장 핵심전략기술분야인 유전자치료제벡터와 관련된 핵심 기술에 포함된다. 김우진 CSO는 “정부에서도 관심 분야로 지원해 주는 유전자치료제 벡터 기술을 앞으로 적극 확장 개발해 국내 유전자치료제 사업을 이끌어 가는 기업이 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진크래프트 소개
주식회사 진크래프트는 2020년 8월 18일 설립된 ‘충북의대 종양연구소(배석철 교수)’ 기술 기반 신약 개발 기업이다. 진크래프트는 1991년 이래 꾸준히 인체 본연의 항암 방어기전만을 연구한 배석철 교수의 연구 성과를 항암유전자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해 설립됐다.
언론연락처:진크래프트 경영지원팀 류정석 차장 02-400-8890
이 뉴스는 기업·기관·단체가 뉴스와이어를 통해 배포한 보도자료입니다.
-
노보텍, 분산형 임상시험의 잠재력과 해결과제 규명해 2024년 글로벌 바이오테크 임상시험의 추진력 강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중점을 둔 선도적인 바이오테크 전문 임상 시험 수탁 기관(CRO)이자 글로벌 역량을 갖춘 노보텍(Novotech)이 분산형 임상시험의 잠재력과 해결과제를 규명해 2024년 글로벌 바이오테크 임상시험의 추진력 강화한다.Novotech은 홍콩에서 개최된 임상연구 거버넌스(CRGo) 세계 콘퍼런스 및 국제 임상시험센터 네트워크(ICN) 심포지엄 2023 행사에서 발표 진행을 맡았다.Novotech의 운영부문 최고책임자(COO)인 Michael Stibilj은 글로벌 바이오테크 CRO 관점에서 바라본 분산형 임상시험( -
건국대학교 신순영 교수팀, 집먼지진드기로 유발되는 아토피 가려움증 원인 규명
건국대학교 상허생명과학대학 신순영 교수(생명과학특성학과) 연구팀이 집먼지진드기(house dust mite)로 유발되는 아토피 피부염에서 가려움이 악순환되는 분자병리학적 원리를 규명했다.이번 연구 결과는 피부과학 분야 상위 3.3% 국제학술지인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에 이달 초 온라인 게재됐다. 논문명은 ‘The EGR1-ARTN axis in keratinocytes enhances the innervation of epidermal sensory neurons during skin -
바이오사이토젠과 길리어드, 다중 표적 항체 협력 계약 체결
바이오사이토젠 파마슈티컬스(베이징)(Biocytogen Pharmaceuticals (Beijing) Co., Ltd.)(바이오사이토젠(Biocytogen), HKEX: 02315)이 오늘 길리어드 사이언스(Gilead Sciences, Inc)와 항체 평가 및 옵션 계약 체결을 발표한다. 이 계약은 광범위한 치료 표적에 대해 생성된 바이오사이토젠의 광범위한 완전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길리어드에 제공한다. 3년의 지명 기간 길리어드는 전 세계 치료제 개발을 위해 선별된 항체를 확보할 수 있는 옵션과 함께 관 -
항암효과 좋은 음식들, 무엇이 있을까?
암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중 1위다. 의료 기술이 많이 발전하면서 암 발병 후 생존율이 높아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암은 완전히 정복되지 않은 질병이다. 사망원인에 대한 통계가 발표된 이래, 매년 집계되는 사망자 중 가장 많은 원인은 언제나 암이었다. 2017년의 경우, 1년간 발생한 전체 사망자 중 약 27%가 암으로 사망했다는 통계가 있다. 4명 중 1명 이상이라는 뜻이다. 암은 생명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세포의 이상 성장으로 인해 발생한다. 세포는 성장하면서 자연스레 분열하고, 수명을 다하면 죽고 새로 태어나는 자연스러운 순환을 -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 나노항암제 ‘SNB-101’ 췌장암 대상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대표 박영환)는 개발 진행 중인 고분자 나노입자 항암신약 ‘SNB-101’(주성분: SN-38)이 27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췌장암 적응증으로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았다고 밝혔다.SNB-101은 에스엔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한 나노입자 항암제로, 세계 최초로 극난용성인 SN-38을 고분자 나노입자로 개발해 임상1상을 완료했다.SNB-101은 췌장암 동물시험 모델에서 기존 1차 치료제인 아브락산(Abraxane®), 오니바이드(Onivyde®)와 비교해 탁월한 효능을 나타냈으며, 이를 근거로 지난해 11월 -
글로벌바이오제약 솔루션 기업 IDBS, 한국 시장 진출 확대
아이디비에스(IDBS)는 과학 연구, 디스커버리, 개발 및 제조를 위한 글로벌 엔터프라이즈 소프트웨어 기업으로, IDBS Polar 및 PIMS를 한국에서의 고객 확장·지원을 위해 경험 많은 비즈니스 리더를 영입했다고 발표했다.한국 의약품 시장은 국가 GDP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매출은 2024년에 미화 131억8000만달러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4~2028년 CAGR은 6.85%다. 정부의 R&D 지출은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신약과 바이오시밀러에 집중된다. 많은 제약회사와 마찬가지로 한국 제약회사도 출시 기간을 -
글로우픽과 크리마, 화장품 브랜드 대상 리뷰 연동 서비스 개시
모바일 뷰티 정보 제공 서비스 글로우픽(GLOWPICK)과 AI 리뷰 마케팅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크리마(cre.ma)가 양사 간 협업을 발표했다.이번 협업으로 양사가 두 플랫폼 간의 브랜드 리뷰 정보를 공유하고, 많은 화장품 브랜드가 소비자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크리마 리뷰를 사용 중인 뷰티 브랜드는 글로우픽의 유저가 작성한 기존의 자발적 리뷰뿐만 아니라 주요 마케팅 상품인 ‘평가단’ 프로그램을 통해 제공하는 신뢰도 높은 소비자 데이터를 크리마 리뷰로 자사몰에 손쉽게 연동해 노출할 수 있다. -
염증 유발 없이 ‘인체 재생’ 돕는 바이오 전자소재 개발
손상된 인체조직의 재생을 도울 수 있는 새로운 전자소자가 개발됐다. 성균관대학교 전자전기공학부 손동희 교수는 전도성 하이드로젤 전극소재 및 전자소자를 개발했다. 이는 신축성과 접착성을 겸비해 생체조직과 같은 부드러움을 갖고 있으며, 전기 저항도 작아 근육 및 신경신호를 잘 전달하는 전도성도 갖고 있다.손 교수는 소재의 개발에 그치지 않고, 이를 인체에 활용하는 두 가지 방법도 개발했다. 주사기법을 통해 생체에 직접 이식하는 방법과 뛰어난 접착성을 십분 활용해 바이오 전자스티커로 피부에 부착하는 방법이다. ‘손상된 생체조직에 장기간 -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 ‘2024 1차년도 성과보고회’ 개최
재생의료진흥재단 소속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단장 김현옥, 이하 사업단)은 지난 4월 18일(목) 연세대학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에서 ‘2024 1차년도 성과보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업단은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해 수혈용 세포 기반 인공혈액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대량생산 및 제조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목표를 갖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다부처 지원사업인 ‘세포 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및 혈소판)제조 및 실증플랫폼 기술개발사업’을 운영하기 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