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여름의 관건은 찌는 듯한 더위를 어떻게 해소할 수 있느냐다. 운동을 좀 해보려 마음먹더라도 더운 날씨 아래 문밖을 나서려면 도무지 엄두가 나지 않는다. 집 안에 있어도 이렇게 더운데, 밖에 나가서 운동을 한다는 건 상상조차 되지 않는다. 게다가 여름철에는 무리한 바깥 활동을 삼가라는 경고도 여러 차례 나오지 않았던가.

이럴 때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이 바로 수영장이다. 시원함도 잡을 수 있고, 수영은 그 어떤 운동에도 밀리지 않는 훌륭한 유산소 운동이 되기 때문이다. 단점은 딱 하나. 수영장까지 가는 동안 견뎌야 하는 더위 뿐이다.

깔끔하게 관리되고 있는 수영장에 가면 절로 상쾌한 기분이 든다. 시원한 물에 조심스레 몸을 담그면 금방이라도 마음껏 움직일 수 있을 것만 같은 의욕도 넘친다.

수영은 물론 좋은 유산소 운동이지만, 수영장까지 왔다면 보다 다양한 운동을 시도해볼 수 있다. 특히 관절 통증을 겪고 있거나 부상에 대한 걱정으로 시도하지 못했던 근력운동을 보다 자유롭게 해볼 수 있는 기회다. 물 속에서의 움직임은 관절에 보다 적은 부담이 가해지기 때문이다.

시원하게 물살을 가르며 즐기는 수영도 즐기면서, 지금부터 소개하는 운동법을 틈틈이 시도해보면 보다 지루하지 않게 수영장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아쿠아 조깅

방문한 수영장에 허리 정도까지 오는 깊이의 물이 있다면 시도해볼 수 있는 운동법이다. 하반신 정도가 잠기는 깊이의 물 속에서 조깅을 한다는 생각으로 움직이면 된다. 

물론 물의 저항감 때문에 마음은 이미 조깅을 하고 있더라도 몸은 잘 따라주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오히려 그 덕분에 물의 저항을 이용해 운동 효과는 극대화된다. 아쿠아 조깅은 글자 그대로 조깅처럼 움직이는 것이므로, 심폐 지구력을 향상하는데 더없이 탁월한 운동이다.

물론 맨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허리 정도 깊이의 풀장이 없다면 시도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만약 그보다 좀 더 깊은 물이 있다면, 아쿠아 조깅을 변형해 물 속에서 조금 빨리 걷는다는 느낌으로 시도해보는 것도 좋겠다.

 

수중 에어로빅

에어로빅이라는 운동 자체가 요즘은 다소 뜸하다. 에어로빅의 원리를 응용한 운동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에어로빅이라는 말 자체를 잘 쓰지 않는다고 할까. 따라서 ‘수중 에어로빅’이라는 말도 찾기 어려울지도 모른다.

용어에 포커스를 맞추지 말고, 운동의 원리에 초점을 두는 편이 좋겠다. 에어로빅에서 사용되는 동작들은 근력과 유연성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에어로빅 동작을 응용한 운동법들이 다양하게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뛰어난 효과만큼이나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도 적지 않다. 따라서 이 동작을 물 속에서 하면 관절 부담을 확 줄이고 높은 운동효과만 가져갈 수 있다. 

수중 에어로빅을 하기 위해서는 그에 맞춰진 환경이 필요하다. 때문에 가능하다면 수영장 중에서 수중 에어로빅 프로그램 또는 그와 비슷한 형태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클래스에 참여하는 편이 효율적일 것이다.

여의치 않다면 인터넷에서 에어로빅 동작 몇 가지를 익힌 다음, 물 속에서 스트레칭하듯이 해보는 것도 좋다. 타인의 시선에 예민한 편이라면 수영을 즐기다가 한 번씩 몸을 풀어주는 느낌으로 자연스럽게 섞어서 해보면 된다.

 

수중 근력운동

물은 기본적으로 공기에 비해 밀도가 높다. 물 속에서 몸을 자유롭게 움직이기 힘든 근본적인 이유다. 또한, 바로 이 원리 때문에 물 속에서의 움직임이 공기 중에서 하는 운동보다 효과가 뛰어나다. 밀도가 높다는 건 그만큼 높은 저항을 극복해야 한다는 뜻이니까.

물 속에서는 평소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더라도 더 많은 근력을 사용하게 된다. 단순하게 계산해, 똑같은 동작을 똑같은 횟수로 수행하더라도 물 밖에서 할 때보다 운동 강도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그러면서도 물이 관절과 근육을 잡아주는 효과를 내기 때문에 부상 위험도 적다.

스쿼트나 런지 같은 기본적인 맨몸 운동도 마찬가지다. 수영장에는 별다른 운동기구를 가지고 들어가기 어려운 만큼, 맨몸을 활용할 수 있는 근력운동을 물 속에서 시도해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물 속에서는 특정한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훨씬 수월하기 때문에, 스쿼트와 런지의 정확한 동작을 익혀서 시도하면 한결 뛰어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