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배재수)가 곰취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에 알레르기성 염증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다고 25일(목) 밝혔다. 풍부한 영양가로 인해 기존부터 식재료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곰취가 이번 국립산림과학원의 연구를 통해 의학적인 효능도 있음이 입증된 것이다.

본래부터 곰취는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가 입증돼 있는 식재료였다. 또, 혈당 상승을 억제하고 지방 대사를 개선해 고지혈증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에게 권장되는 음식 중 하나였다. 다만, 이번 연구는 음식으로서의 효능에 더해 직접적으로 추출해낸 에센셜 오일을 의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준 사례라 할 수 있다.

 

곰취, 영양만점 팔방미인 식재료

본래 곰취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넓은 잎을 가지고 있는 취나물의 일종이다. 특유의 쌉쌀한 맛과 풍부한 향으로, 밥에 넣어 곰취밥을 짓기도 하고, 장아찌나 채소절임, 샐러드 등 여러 가지 조리법으로 널리 활용된다. 

고원이나 깊은 산 속에 있는 습지대에서 자생하는 성질이 있어, 보통은 골짜기 주변에 가야 볼 수 있다. 자연산 곰취는 봄과 가을이 제철인 나물이다. 여름이 지나가는 8월~9월경부터 두 번째 제철을 맞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현재는 기술의 발달로 시설 재배를 통해 계절에 상관없이 먹을 수 있는 나물이 됐다.

보통 곰취는 잎을 채취해서 먹는다. 수분 함량이 높고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봄에 수확한 곰취는 여름 보양식 재료로도 흔히 쓰인다. 비타민 A와 C, 칼슘, 철, 마그네슘의 공급원이며, 식이섬유도 들어있다. 폴리페놀 등 항산화 물질도 들어있어 여러 모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재료다.

 

곰취의 주요 효능

곰취는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폴리페놀 등 여러 계통의 항산화 물질을 다양하게 함유하고 있다. 활성산소로 인한 산화 스트레스를 경감시켜주고,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염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간의 해독 작용을 돕는 기능이 있고 면역력 개선에 도움을 주는 영양소도 가득하다. 혈압이 높은 경우 혈압을 내리고 혈액순환을 개선해 풀리지 않고 쌓여있는 피로물질을 해소해주는 효과도 있다. 

곰취는 잎 자체를 채집해 쌈 채소로 활용하기도 하고, 잘 말려서 밥을 지을 때 영양밥의 재료로 활용하기도 한다. 곰취를 넣어 지은 밥은 그 자체로 풍미가 있어, 간단한 양념간장과 밑반찬 한두 가지만 곁들여도 입맛을 돌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곰취 건강 효능, 에센셜 오일로도 얻을 수 있어

식물의 꽃이나 꽃봉오리, 잎, 줄기 등에서 얻을 수 있는 에센셜 오일(Essential Oil, 정유)는 천연 그대로의 고농도 식물성 오일로, 그 식물 특유의 향기를 갖는다. 국립산림과학원에서는 이처럼 식물이 가진 고유의 향기물질을 활용해 식물 에센셜 오일을 연구해왔다. 이들은 식품, 화장품, 생활용품 등에 첨가하기 위한 천연향료로 널리 쓰인다.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진이 다양한 식물 에센셜 오일의 효능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곰취에서 추출한 오일이 알레르기성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재료로서도 항염증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직접적으로 추출한 오일에도 같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것이다.

특히, 염증 유발 인자인 인터루킨-5(IL-5)의 경우 알레르기성 비염 등의 질환에서 기도 과민성 증가, 점액 분비 증가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곰취 오일을 10ppm으로 처리하면 아무런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인터루킨-5가 74%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곰취에서 추출한 에센셜 오일의 새로운 효능을 발굴한 사례로, ‘곰취 유래 정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출원번호 10-2024-0091118)’이라는 명칭으로 특허 출원을 완료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상용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곰취 /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보도자료
곰취 / 출처 : 국립산림과학원 보도자료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