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이미지는 본문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 Designed by Freepik
위 이미지는 본문 내용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 / Designed by Freepik

혈액 내 대사산물을 토대로 신체 연령 및 노화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제시됐다. 킹스칼리지 런던 산하 정신의학·심리학·신경과학 연구소(IoPPN)에서는 혈액으로부터 여러 생체 지표 데이터를 확보했다. 그런 다음 이를 토대로 개인의 건강상태 및 기대수명을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반 노화 시계’가 얼마나 정확한지를 평가하는 연구를 수행했다.

 

혈액 성분 분석을 통한 ‘마일에이지’

연구팀은 영국 바이오뱅크로부터 40세~69세 범위에 있는 22만5천여 명의 데이터를 확보한 다음, 이를 바탕으로 17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학습시키고 수명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 ‘마일에이지(MileAge)’라는 개념을 적용했다. 혈액 내 대사산물을 기준으로 측정한 신체 내부의 연령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서 말하는 ‘대사산물’이란, 섭취한 음식물이 소화 과정 및 체내 대사를 거치며 만들어지는 작은 분자 단위의 물질들을 의미한다. 마일에이지라는 개념 자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혈액 내 대사산물’을 토대로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대사산물의 종류와 수치 등을 분석해 신체 연령을 파악할 수 있으며, 그것을 실제 연령과 비교함으로써 생물학적 노화가 빠른지 느린지를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마일에이지가 실제 연령보다 더 높은 경우는 평균적으로 더 허약하고 건강상태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았다. 당연히 만성질환을 앓을 가능성도 더 높았고, 사망 위험도 더 높게 나왔다. 또한, 세포의 노화 지표인 ‘텔로미어’의 길이도 더 짧게 나타났다.

 

기존 신체 연령 측정과 다른 점

마일에이지라는 이름을 붙이긴 했지만, 사실 기존의 ‘신체 연령’과 비슷해보인다. 즉, 개념 자체는 그리 새로운 것이 아니다. 건강 검진을 여러 번 받아본 사람이라면 자신의 신체 연령이 어느 정도라는 결과를 받아본 적이 한 번쯤 있을 테니까. 다만, 마일에이지는 기존의 신체 연령과 측정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기존의 신체 연령은 실제 나이와 혈압, 체중, BMI 등을 기본으로 활용하고, 좀 더 세밀하게 분석할 경우는 유전적 요인이나 과거 병력 등을 참조한다. 한 마디로 외부 물리적인 지표들을 주로 활용해 측정한다는 것이다.

반면, 마일에이지는 혈액 내 대사산물을 기반으로 하는 생화학적 지표 측정법이다. 체내 대사 및 생리적 변화로 만들어지는 결과물을 반영하기 때문에, 한층 정확한 측정 및 평가가 가능하다. 특히 노화가 진행되면서 나타나는 대사적 변화는 물론, 특정 질환의 발병 징후를 보여주는 물질을 발견하는 데 있어 더욱 정확하고 민감할 가능성이 높다.

 

개인 맞춤형 접근 가능성

의료  서비스의 미래 트렌드는 ‘개인 맞춤화’다. 기존의 물리적 지표들은 ‘개인화’를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나이, 신장, 체중 등 겉으로 보이는 지표가 같거나 비슷하더라도 신체 내부의 건강상태는 저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런 점에서 마일에이지는 개인의 생리화학적 상태에 따라 맞춤형 건강관리에 적합한 솔루션이 될 수 있다.

이번 연구가 보다 가다듬어진다면, 건강이 악화되는 원인과 그 초기 징후를 보다 명확하게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질환 발병 전 예방 및 초기 조치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또한,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상태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고, 적극적으로 관리하도록 하는 동기부여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연구의 주 저자인 IoPPN 줄리안 무츠 박사는 “실제 연령은 바꿀 수 없지만, 생물학적 연령은 바꿀 수 있다”라며 “이러한 ‘노화 시계’는 생물학적 연령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라이프스타일 선택과 건강을 위한 예방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이야기했다.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