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과학잡지 뉴턴 [단행본 뉴턴하이라이트 시리즈]](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404/413_204_83.jpg)
알츠하이머병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육류, 가공식품, 자동차 오염 물질 등 알츠하이머병을 초래하는 요인들이 속속 밝혀지고 있으며 최근 또 하나의 요인이 추가됐다. 특히 새로 밝혀진 요인은 알츠하이머병이 인간과 인간 사이에 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충격을 주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인지 기능의 저하를 특징으로 하는 퇴행성의 뇌 질환이며 치매 중 가장 흔한 유형이며 2022년 기준 전 세계의 5500만명 이상이 알츠하이머로 인하여 고통받고 있다.
알츠하이머병이란 뇌의 신경 세포가 시간 흐름과 함께 죽어가는 질환을 통틀어 지칭하며, 이 병에 걸린 환자의 대뇌 피질은 뇌 표면에서부터 안쪽에 걸쳐 위축이 진행되며 뇌가 쪼그라든다. 특히 뇌의 앞쪽과 옆쪽에서 이러한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대의 연구진은 인간에게 유전되는 알츠하이머병, 특히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합성하는 유전자를 갖도록 쥐를 사육한 후, 쥐의 골수에서 줄기세포를 추출해 건강한 쥐에게 주입하는 실험을 행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아밀로이드 플라크를 합성하는 유전자를 갖도록 사육된 쥐는 9개월 만에 인지 저하 징후가 나타났으나 알츠하이머병을 가진 줄기세포를 주입받은 쥐는 6개월 만에 인지 저하 징후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알츠하이머병에 걸리기 쉬운 쥐가 생후 11~12개월쯤에 증상을 보이는 것과 비교하면 징후의 발현 시기가 급속도로 빨라진 것이다. 또 줄기세포를 주입받은 쥐는 알츠하이머병의 전형적인 특징인 섬유질 침전물인 아밀로이드 플라크의 축적과 같은 뇌의 변화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하여 혈액이나 장기 등의 기증이 이루어지기 전 기증자에 대한 알츠하이머 질병 검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하며 건강한 사람이라도 전염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실험을 토대로 알츠하이머는 그저 유전성이라는 기존의 인식이 뒤바뀌게 될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들이 진행한 쥐와 줄기세포를 통한 실험으로 건강한 사람에게도 전염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단 9개월 만에 정상 쥐들의 뇌에서 인지 기능 저하와 아밀로이드 플라크 축적과 같은 알츠하이머병의 전형적인 징후가 나타난 것으로 "알츠하이머병 병리학의 기존 중심 교리, 즉 뇌에서 생성된 베타 아밀로이드(Aβ) 축적이 질병의 원인이라는 가설에서 벗어나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 연구는 뇌의 외부에서 생성된 Aβ가 질병 발병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게 되는 것이다"라고 연구팀은 말했다.
현재까지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알츠하이머병은 정확한 발병의 원인과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증상을 완화시키고 진행을 지연시킬 수 있는 약물이 한계인 정도이다.
연구자들은 생활 습관과 유전적 요인, 환경적인 요인 등이 이 병의 발병에 복합적으로 영향을 준다고 보고 있다.
-
SML메디트리, 알츠하이머 치료제 전문 분석서비스 시작
삼광의료재단 가족사인 SML메디트리가 알츠하이머 치료제 분석서비스를 본격 시작하고 관련분야에서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 변화의 핵심에는 최근 영입한 강승우 박사의 경험이 깃들어 있다. 지난해 12월 영입한 강 박사는 서울의과학연구소, ISS (인터내셔널사이언티픽스탠다드)를 거쳐 치매치료제 개발 바이오벤처, 아리바이오의 연구소 소장을 역임했고, 현재 한국의약분석연구회 회장을 맡고 있다.강 박사의 합류로 SML메디트리는 치매 치료제 임상분야에서의 전문성과 경험을 확보했다. 특히 강 박사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에서의 오랜 -
은행잎추출물, 뇌 기능 저하 붙잡아줄까?
중앙치매센터의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는 약 900만 명, 이중 10.38%에 해당하는 약 93만 명이 치매 환자로 추정된다. 즉,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1명이 치매를 앓고 있는 셈이다. 2018년 중앙치매센터가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65세 이상 인구 약 706만 명, 치매환자 약 70만 명으로 치매 유병률이 대략 10%였다. 4년 후인 2022년 통계와 비교했을 때, 10명 중 1명이라는 대략적인 수치는 동일하다. 하지만 미세하게나마 그 유병률이 증가세를 그리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로 -
뇌졸중초기증상, 속도가 생명을 좌우한다
뇌졸중(腦卒中, Cerebrovascular disease)은 전세계 기준 사망원인 2위, 우리나라 기준 사망원인 4위에 해당하는 중대한 병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제공하는 의료 통계에 따르면 2022년 기준 뇌졸중 환자는 약 63만 명. 5년 전인 2018년 약 59만 명으로부터 명확하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뇌졸중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는 기관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다.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의 설명에 따르면,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는 허혈성 뇌졸중, 혈관이 터지는 출혈성 뇌졸중으로 인해 뇌에 손상이 생 -
국립암센터, 세계 최초로 ‘뇌종양 재발 원인’ 찾았다
국립암센터(원장 서홍관)의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뇌종양의 재발 원인 및 구체적인 재발 과정을 밝혀냈다고 27일(수) 발표했다. 국립암센터 암단백유전체연구사업단 박종배 단장과 단백체분석팀 김경희 박사가 이끄는 연구진은, 암세포가 생성하는 모든 종류의 단백질을 분석하는 암단백유전체 분석 연구를 진행했다. 치료가 이루어진 뒤 암세포가 어떻게 진화하는지를 추적하는 연구를 진행한 것이다. 뇌종양 재발 원인을 밝혀내다뇌에서 처음 발병한 것을 원발 뇌종양, 치료 후 재발하거나 다른 곳의 암이 뇌로 전이되는 것을 재발 뇌종양이라 한다. 이번 연구 -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 ‘2024 1차년도 성과보고회’ 개최
재생의료진흥재단 소속 세포기반인공혈액기술개발사업단(단장 김현옥, 이하 사업단)은 지난 4월 18일(목) 연세대학교 에비슨의생명연구센터에서 ‘2024 1차년도 성과보고회’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사업단은 혈액수급 안정화를 위해 수혈용 세포 기반 인공혈액 생산기술을 확보하고 대량생산 및 제조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연구목표를 갖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질병관리청 등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다부처 지원사업인 ‘세포 기반 인공혈액(적혈구 및 혈소판)제조 및 실증플랫폼 기술개발사업’을 운영하기 위 -
알츠하이머 신규 치료제 ‘도마네맙’, FDA 승인 확정
미국 소재의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신약 ‘도나네맙(Donanemab)’이 미국 식품의약국(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으로부터 현지 시간 2일 승인을 받았다. 지난 해 임상시험 데이터가 불충분하다는 이유로 승인이 거부됐으며, 올해 3월에도 부작용 등의 사유로 승인이 유보된 끝에 최종적으로 승인을 받아냈다.도나네맙의 승인을 지연시킨 부작용은 뇌 부종과 뇌출혈이었다. 임상 시험 과정에서 환자 약 4분의 1이 뇌 부종을, 3분의 1이 뇌출혈을 일으킨 바 있다. 이에 FDA는 외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