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Designed by Freepik (https://www.freepik.com/)

여름은 어떤 의미에서 보면 위험하다.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잠재적 복병’들이 도처에 즐비하다. 잠재적 복병이란 음식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름에는 상온에서 음식이 쉽게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조리한 음식도 마찬가지고, 과일도 더 익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냉장보관을 하지 않는 과채류는 금세 먹기 애매한 상태가 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음식과 관련된 질환도 흔해진다. 특히 단체 급식을 제공하는 학교 등에서는 업체를 통해 제공받은 음식에 문제가 생길 경우 집단 식중독에 걸릴 위험도 있다. 음식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근본이기 때문에, 음식을 매개로 발생하는 질환에는 예민해질 수밖에 없다.

음식으로 인한 질환은 보통 장 질환이다. 이르게 찾아온 더위를 견디는 중 혹시 복통이나 설사를 경험했거나 현재진행형이지는 않은가? 그렇다면 이 글을 한 번쯤 살펴보기 바란다.

 

여름철 복통과 설사의 주범, 식중독

가장 흔한 원인은 아무래도 식중독이다. 살모넬라, 대장균 등이 대표적이며, 그 외 기생충이나 독성 물질이 잔류해있는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발생한다. 음식을 조리할 때 식재료의 꼼꼼한 세척은 기본이지만, 때때로 식재료의 보관 상태에 따라 세척을 하더라도 식중독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일부 식중독의 경우 바이러스성 병원체로 인해 발생하기도 한다. 노로바이러스, 로타바이러스가 대표적이다. 일반적인 식중독은 음식을 통해서만 발생하지만, 바이러스성 식중독의 경우 감염된 사람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좀 더 위험하다.

음식을 섭취한 후 짧게는 몇 시간, 길게는 며칠 내로 복통이나 설사, 구토, 발열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면 높은 확률로 식중독을 의심할 수 있다.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고 휴식을 취하면 회복될 수 있다. 증상이 심하고 며칠동안 지속될 경우 병원을 찾아 항생제 등을 처방받는 편이 좋다.

 

그밖의 잠재적 위험요소

여름에는 다른 때에 비해 물을 자주 마시게 된다. 사람에 따라 텀블러 혹은 생수병을 가지고 다니며 수시로 물을 마시는 경우도 있다. 바깥 기온과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휴대하고 다니는 물의 상태도 쉽게 변질될 우려가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밖에 수영장 등 많은 사람들이 모이는 곳에 다녀왔다면 며칠 정도 컨디션을 꼼꼼히 살필 필요가 있다. 수영을 즐기다 보면 아무래도 물을 먹게 될 수밖에 없는데, 여러 사람이 이용하는 곳이니 만큼 이후에 발열 등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고온다습한 환경으로 불쾌지수가 높다보니 스트레스도 심해지기 쉽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가지고 있거나, 매운 음식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스타일일 경우 예기치 못한 상황에 갑작스러운 복통이 발생할 수 있다. 시원한 아이스 커피 한 잔도 지친 소화기계 입장에서는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주의하도록 한다.

 

적색경보, 염증성 장 질환

보통 음식으로 인한 복통이나 설사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완화된다. 하지만 만약 증상이 지속되거나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일이 잦다면 ‘염증성 장 질환’일 가능성이 있다. 

몇 개월에 걸쳐 증상이 나타났다 사라지거나 할 경우 보통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장에 염증이 생겼을 때도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염증성 장 질환은 대표적으로 대장 또는 직장의 점막에 염증이 생기는 ‘궤양성 대장염’, 그리고 소화기계 전체에 걸쳐 산발적으로 염증이 발생하는 ‘크론병’이 있다. 복통과 설사가 나타났다가 완화됐다가 또 나타나는 일이 반복된다면 이런 염증성 장 질환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염증성 장 질환은 식중독, 장염 등과 같이 급성으로 나타나는 질환과 예후가 비슷하기 때문에 자칫하면 치료 시기를 놓칠 위험이 있다. 병원에 방문하더라도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진단까지도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의미이므로, 복통이나 설사가 며칠 동안 반복된다고 느끼면 한시라도 빨리 병원을 찾아 증상을 자세히 설명하고 진단을 받도록 한다.

염증성 장 질환의 발생 범위 / 출처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염증성 장 질환의 발생 범위 / 출처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