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3월 말부터 13개 검역 구역(공항 및 항만)과 남부지역 4개 시도(제주, 부산, 경남, 전남)를 시작으로 '2025년 국내 감염병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시행한다.
모기가 전파하는 주요 감염병은 일본뇌염, 말라리아, 뎅기열, 황열,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웨스트나일열 등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감염병을 매개 할 수 있는 모기는 전국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국내 모기 매개 감염병으로는 일본뇌염과 말라리아가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집중 감시를 수행하는 한편, 뎅기열 등 해외 감염병의 유입에 대비하여 전국적인 매개체 감시 사업도 매년 수행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서는 매개모기감시를 위해 국방부, 농림축산식품부, 지자체(보건환경연구원, 보건소) 및 민간(기후변화 거점센터)과 협력하여 3월부터 10월까지 전국 169개 지점*에서 감시를 수행한다.
| * 질병관리청(13개), 국방부(21개), 농림축산식품부(18개), 보건환경연구원(14개), 보건소(70개), 기후변화 거점센터(33개) |
감시사업에서는 유문등*을 이용하여 채집된 모기를 모기 지수**로 환산하고, 발생 변화(평년, 전년, 전주 대비 변화)를 확인하여 유전자검사를 통해 병원체 감염 여부를 조사한다.
|
* 유문등 : 야행성 곤충이 좋아하는 350~370nm 파장의 빛을 내보내 모기를 유인하여 포집하는 기구 ** 모기지수(Trap Index, TI) = 채집된 모기 수 / 유문등 수 / 채집 일 수 |
모기 지수 및 병원체 확인 결과 등을 기준으로 모기 방제와 예방을 위한 주의보 및 경보를 발령하고, 감시사업 결과는 질병관리청 감염병 누리집(홈페이지)에서 ‘병원체 및 매개체 감시 주간 정보’ 등으로 공개한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기후변화에 따라 우리나라가 아열대화 되어가면서 모기 발생 시기가 점차 빨라지고, 발생량 또한 증가하고 있다”고 밝히며,
“질병관리청에서는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적극적인 매개모기 감시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누리집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으니, 지자체 등에서는 모기감시 정보를 바탕으로 유충 발생 지점 등에 대한 집중 방제를 수행하고,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예방 홍보·교육을 통해 매개모기 감염병 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해 줄 것”을 당부하였다.

<본 기사는 질병관리청에서 2025년 3월 24일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자료를 활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 모기 예방수칙 재점검 필요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은 올해 첫 일본뇌염 환자 발생이 확인됨에 따라,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예방접종 대상자의 적극적인 접종 참여를 당부했다.질병관리청은 올해 3월 30일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한 바 있으며, 이후 7월 25일 다시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했다. 이후 약 한 달 남짓 지난 시점에 국내에서 2명의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다. 감염 신고된 2명의 환자는 모두 60대로, 발열과 구토, 인지 저하, 어지러움 등의 증상을 호소하며 의료기관을 방문, 입원 치료를 받았다. 일본뇌염 진단 기준일본뇌염은 환자의 혈액 또는 뇌척수액으로부터 -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 전파 계속돼... 해외여행 계획 시 주의
올 여름 모기로 인한 피해는 지역마다 나뉘는 느낌이다. 어떤 곳은 여느 때와 다르지 않게 모기가 극성을 부렸는가 하면, 또 어떤 곳은 평소와 달리 모기가 뜸했다는 곳도 있다. 유례 없는 폭염 덕분에 모기도 영향을 받은 게 아닌가 싶을 정도다.여름이 서서히 끝나가는 대목이다. 뒤늦게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곳도 보인다. 특히 최근 들어 국제적으로 ‘웨스트 나일 바이러스(West Nile Virus)’ 감염 사례가 늘어나며 경각심을 높이고 있다. 얼마 전에는 ‘코로나19 박사’로 알려진 앤서니 파우치(Anthony Fauci) 박사(前 -
확산되는 말라리아 경보, 알아두어야 할 상식들
최근 서울에서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됐다. 본래 여름철 모기에 물리는 일은 성가시고 짜증나는 정도가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올해 말라리아 경보가 발령됨에 따라 더 이상 단순한 문제로 여길 수 없게 됐다. 삼복더위가 지나고 여름이 잦아드는 시점이지만, 여전히 모기가 기승을 부리는 곳이 많다. 국내에서 환자가 늘어나고 있다는 소식을 들을 때면, 말라리아에 대한 불안감을 떨쳐내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말라리아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내용들을 살펴본다. 말라리아, 여름 외에도 발생할 수 있어우리나라에서 주로 발생하는 말라리아는 ‘삼일열 말라 -
여름을 혐오하게 만드는 모기, 피하는 법과 물렸을 때 대처법
여름을 싫게 만드는 주범 중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모기다. 피를 빨며 괴롭게 하는 것도 문제지만, 엥엥거리며 날아다니면 잠자는 데도 방해가 된다. 시중에 나와있는 모기 관련 제품이 얼마나 다양한지만 봐도 모기가 얼마나 골칫거리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물론 사람에 따라 모기에 잘 물리지 않는 경우도 있다. 여러 사람이 모여있을 경우 특정 사람만 모기에 더 많이 물리는 것도 경험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이는 모기의 습성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가뜩이나 덥고 습해 힘든 여름, 모기에 의한 괴로움이라도 덜 수 있다면 그나마 낫 -
지영미 질병관리청장, '검역소 청주공항지소' 개소 현장 방문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26일 개소한 국립평택검역소 청주공항지소를 방문해, 입국자 대상 전자검역 시범사업 현장을 점검했다. -
모기의 습성과 모기 대응 방법, 미리미리 준비하기
모기 하면 보통 혐오감을 표출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의외로 모기의 본질적 습성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대학에서 모기에 관해 정리한 연구 내용을 소개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