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은 농작업, 등산, 캠핑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계절이지만, 동시에 진드기 매개 감염병 위험이 커지는 시기다. 최근 고온다습한 기후로 진드기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관련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배지윤 교수는 “대표적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는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있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6천 건이 보고되며 특히 가을철에 집중된다. 감염되면 10일 이내 두통, 발열, 발진, 오한, 림프절 종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배 교수는 “초기 치료를 받으면 완치 가능성이 높지만, 감기몸살로 오인해 치료 시기를 놓치면 합병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야외활동 후 발열과 발진이 나타나거나 가피가 확인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SFTS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으로, 주로 4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한다. 2주 이내에 38~40도의 고열과 함께 구토, 설사, 오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며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가 나타난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환자는 2,065명이며, 국내 누적 치명률은 약 18.5%로 보고됐다.
배 교수는 “SFTS는 아직 치료제와 백신이 없어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이나 신경학적 증상, 혼수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며 “농작업이나 야외활동 후 고열과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질병관리청이 제시하는 ‘농작업 및 야외활동 전·중·후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활동 전에는 긴팔, 긴바지, 토시, 양말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 활동 중에는 풀밭에 눕거나 오래 머무르지 말아야 하며, 활동 후에는 착용했던 옷을 반드시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통해 진드기를 제거하는 것이 권장된다.
배 교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치명률이 높을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과 예방이 최선”이라며 “농작업이나 야외활동 시 개인위생과 복장 관리에 각별히 신경 쓰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사진1] 가을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진드기 매개 감염병’(클립아트코리아 제공)](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9/2977_4996_5324.jpg)
![[사진2]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배지윤 교수](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9/2977_4997_5332.jpg)
-
복부대동맥류, 면역세포 분석으로 새로운 치료 가능성 제시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오세진 교수 연구팀이 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 염증 단백질인 C-반응 단백(CRP)의 침착 정도에 따라 면역세포 구성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특히 CRP가 많이 침착된 경우 염증세포는 증가하고 평활근세포는 줄어드는 양상이 확인돼, 향후 CRP를 표적으로 하는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 가능성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해외 연구진과의 국제공동연구로 진행됐으며, 결과는 국제학술지 Translational Research에 게재됐다. -
강동경희대병원, 국내 최대 규모 연구로 안면신경마비 한약·스테로이드 병용치료 안전성 입증
강동경희대학교한방병원이 국내 최대 규모의 안면신경마비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 한약과 스테로이드 병용치료의 안전성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 신장 기능 이상은 전혀 없었으며 소수 환자에게서만 경미한 간수치 상승이 나타났다. 이번 성과는 한·양방 협진 치료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환자들의 치료 선택권을 넓히는 계기가 됐다. -
이대목동병원 융합의학연구원–GC녹십자의료재단,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협력 강화
이대목동병원 융합의학연구원과 GC녹십자의료재단이 보건의료 및 헬스케어 의료기기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산업 육성, 공동 사업화, 창업 지원, 학술 교류 등을 함께 추진하며 의료기술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
임플란트 안정성 위해 잇몸뼈 부족 시 ‘뼈이식술’ 고려 필요
세란병원은 임플란트 수술 전 잇몸뼈(치조골)가 부족한 경우 뼈이식술이나 상악동 거상술을 통해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발치 후 시간이 지나면서 뼈가 소실되는 경우가 많아 전문의의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다. -
은평성모병원 심장혈관병원, ‘심장의 날’ 맞아 건강강좌 개최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심장혈관병원이 오는 9월 16일 병원 강당에서 ‘심장의 날’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항응고제, 심부전, 심장수술, 약물·영양 관리 등 심혈관질환 전반에 대한 최신 치료법과 예방법이 소개되며,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서울부민병원, 고관절 수술 환자 수혈률 절반 이상 줄여
서울부민병원이 환자혈액관리(PBM) 프로그램을 고관절 수술에 적용한 결과, 수혈률과 출혈량이 절반 이상 줄었다. 연구팀은 수술 전 빈혈 교정, 수술 중 출혈 최소화, 수술 후 불필요한 배액관 제한을 통해 환자의 예후가 개선됐다고 밝혔다. 이번 성과는 대한정형외과학회 국제 학술지 Clinics in Orthopedic Surgery 8월호에 게재됐다. -
면역력이 떨어지는 환절기, 감기와 혼동하기 쉬운 질환 주의보
환절기에는 큰 일교차로 인해 면역력이 약해져 다양한 질환에 노출되기 쉽다. 특히 대상포진과 폐렴은 감기와 비슷한 초기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환자가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질환이 고령층에서 중증으로 악화되거나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각별한 주의와 예방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
조용히 진행되는 폐암, 정밀 진단이 생존율 좌우
폐암은 국내 암 발생률 기준 세 번째로 흔한 암이면서도 암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국가암등록통계(2018~2022)에 따르면 폐암 환자의 5년 상대생존율은 40.6%에 불과하다. 하지만 전이가 없는 조기 폐암의 경우 5년 생존율이 79.8%에 달해, 조기 진단이 생존율을 크게 바꾸는 핵심 요인임을 보여준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이정미 교수는 “폐암은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 성과가 극적으로 달라진다”고 강조했다.비소세포폐암 85%, 소세포폐암은 진행 빨라 예후 불량폐암은 크게 비소세포폐암과 소세 -
손톱 거스러미, 무심코 뜯다간 ‘조갑주위염’ 위험
손톱 주변에 잘 생기는 거스러미를 무심코 뜯다가는 생각보다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피부가 벗겨진 자리를 통해 세균이 침투하면 ‘조갑주위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증상을 방치할 경우 심각한 세균감염증인 봉와직염으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다.거스러미 방치가 불러오는 염증20대 직장인 A씨는 평소 손톱 옆에 생긴 거스러미를 뜯는 습관이 있었다. 그러나 어느 날 손가락이 붉게 부어오르고 심한 통증과 함께 노란 고름이 차는 증상이 나타나 병원을 찾았고, 결국 ‘조갑주위염’이라는 진단을 받았다.조갑주위염은 손발톱 주위에 세균이 침투해 발생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