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철은 농작업, 등산, 캠핑 등 야외활동이 늘어나는 계절이지만, 동시에 진드기 매개 감염병 위험이 커지는 시기다. 최근 고온다습한 기후로 진드기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관련 질환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배지윤 교수는 “대표적인 진드기 매개 감염병으로는 쯔쯔가무시증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이 있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진드기에게 물리지 않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에 감염된 털진드기 유충에 물려 발생한다. 국내에서는 매년 약 6천 건이 보고되며 특히 가을철에 집중된다. 감염되면 10일 이내 두통, 발열, 발진, 오한, 림프절 종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물린 부위에 검은 딱지가 생기는 것이 특징이다. 배 교수는 “초기 치료를 받으면 완치 가능성이 높지만, 감기몸살로 오인해 치료 시기를 놓치면 합병증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야외활동 후 발열과 발진이 나타나거나 가피가 확인되면 즉시 의료기관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SFTS는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는 질환으로, 주로 4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한다. 2주 이내에 38~40도의 고열과 함께 구토, 설사, 오심 등의 소화기 증상이 동반되며 혈소판과 백혈구 감소가 나타난다. 질병관리청 자료에 따르면, 2013년 법정감염병으로 지정된 이후 지난해까지 누적 환자는 2,065명이며, 국내 누적 치명률은 약 18.5%로 보고됐다.

배 교수는 “SFTS는 아직 치료제와 백신이 없어 중증으로 진행될 경우 다발성 장기부전이나 신경학적 증상, 혼수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며 “농작업이나 야외활동 후 고열과 소화기 증상이 나타나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방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방을 위해서는 질병관리청이 제시하는 ‘농작업 및 야외활동 전·중·후 예방수칙’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활동 전에는 긴팔, 긴바지, 토시, 양말을 착용해 피부 노출을 최소화하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해야 한다. 활동 중에는 풀밭에 눕거나 오래 머무르지 말아야 하며, 활동 후에는 착용했던 옷을 반드시 세탁하고 샤워나 목욕을 통해 진드기를 제거하는 것이 권장된다.

배 교수는 “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치명률이 높을 수 있는 만큼 조기 발견과 예방이 최선”이라며 “농작업이나 야외활동 시 개인위생과 복장 관리에 각별히 신경 쓰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사진1] 가을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진드기 매개 감염병’(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사진1] 가을만 되면 찾아오는 불청객, ‘진드기 매개 감염병’(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사진2]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배지윤 교수
[사진2] 이대서울병원 감염내과 배지윤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