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이재준 교수 연구팀이 간 기능이 저하된 간세포암 환자, 특히 Child-Pugh Score 7점(CPS 7)을 가진 환자에게도 면역항암제인 아테졸리주맙·베바시주맙(Atezolizumab plus Bevacizumab, 이하 Ate/Bev) 병합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이재준 교수를 비롯해 인천성모병원 권정현·이순규 교수 연구팀이 참여했으며, 국내 7개 대학병원에서 Ate/Bev 치료를 받은 간세포암 환자 374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진행됐다. 이 중 CPS 7 환자 100명에 대한 정밀 분석이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기존의 임상시험들은 주로 간 기능이 양호한 CPS 5~6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져, 간 기능 저하 환자에 대한 치료 근거가 부족했다.
연구팀은 CPS 7 환자 중 총 빌리루빈 수치가 2 mg/dL 미만, 혈청 알부민 수치가 2.8~3.5 g/dL 사이이며, 복수가 경미하고 간성 뇌병증이 없는 경우를 '예후 양호군(favorable CPS 7)'으로 정의했다. 이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는 '예후 불량군(unfavorable CPS 7)'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예후 양호군은 CPS 6군과 전체 생존 기간(OS) 및 무진행 생존 기간(PFS)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치료 반응률(ORR)과 질병 조절률(DCR)도 더 높았다. 반면 예후 불량군은 모든 생존 지표에서 통계적으로 불리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간세포암 환자에게서 단순히 CPS 7이라는 점만으로 면역항암제 치료를 배제하는 기존 치료 패턴에서 벗어나, 간 기능 구성 지표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가능성을 보여준다. 특히 Ate/Bev 치료의 적응증 확장 가능성까지 제시함으로써, 향후 간암 치료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 기능 저하로 인해 치료에서 배제됐던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치료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 사례”라며 “정밀한 간 기능 평가를 통해 면역항암제 사용 가능성을 판단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정현 교수는 “CPS 7 환자군 내 이질성을 구분해 예후 예측을 정교화한 것은 향후 치료 패러다임을 바꾸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고, 이순규 교수는 “이번 다기관 연구는 향후 가이드라인 개정에도 의미 있는 근거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본 연구는 미국암연구학회(AACR)에서 발행하는 국제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 (IF 10.2)에 게재돼 국제적으로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사진] 이재준, 권정현, 이순규 교수](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7/2807_4825_3323.jpg)
-
강동경희대병원, 폐렴 적정성 평가 6회 연속 1등급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폐렴 적정성 평가에서 99.7점을 기록하며 6회 연속 1등급을 획득했다. 이는 전국 평균과 종합병원 평균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으로, 병원의 우수한 호흡기 진료 역량을 다시 한 번 입증한 것이다. -
대한비만학회, 소아비만 예방 위한 ‘제31회 Fun&Run 건강캠프’ 개최
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제31회 Fun&Run 건강캠프’를 개최한다. 참가 아동들은 메타버스 기반의 온라인 플랫폼에서 건강 생활습관을 배우고 실천하며, 스마트밴드와 팀 미션을 통해 흥미와 건강지식을 동시에 습득한다. -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장애인 재활·돌봄 협력체계 강화 간담회 개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이 수원시정자동장애인주간보호시설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장애인의 재활서비스 향상과 돌봄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는 장애인 맞춤형 프로그램과 전문적인 돌봄 교육 등을 중점적으로 다루며 공공의료기관과 지역사회 간 협력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
서울의료원, 폐렴 적정성 평가 6회 연속 '최고 등급' 획득
서울특별시 서울의료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실시한 '폐렴 적정성 평가'에서 최고 등급인 1등급을 획득했다. 2014년 평가가 시작된 이후 무려 6회 연속으로 1등급을 유지하며 의료기관의 지속적인 진료 품질 향상 노력을 증명했다. -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장안구보건소, 재활의료 공백 해소 위해 손잡다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과 장안구 보건소가 지역사회 재가 장애인을 위한 재활의료 서비스 강화를 위해 원외실무협의체를 구성했다. 양 기관은 방문재활 진료 연계와 통합 건강관리체계를 구축하며, 다학제 협업을 통해 전문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
“허벅지 근육이 무릎을 살린다”...관절염 예방 핵심은 대퇴사두근 강화
무릎 관절염 예방과 진행 억제에는 허벅지 앞쪽의 대퇴사두근 강화가 핵심이라는 의료 현장의 조언이 나왔다. 세란병원 정형외과 박영식 부장은 무릎 관절을 지지하고 충격을 흡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퇴사두근을 중년부터 꾸준히 단련해야 퇴행성 관절염 예방은 물론 수술 후 회복에도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
여름철 불면장애 급증…“생체리듬 유지와 수면 위생이 핵심”
최근 5년 사이 불면장애 환자가 약 10만 명 증가한 가운데, 무더위로 인한 여름철 불면 증상이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됐다. 이대서울병원 김선영 교수는 수면 위생 관리와 생체리듬 유지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인지행동 치료를 통해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
전국 대학생 55명, 응급의료 알리미로 나선다…국립중앙의료원 ‘제3기 서포터즈’ 출범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응급의료센터가 전국 17개 시·도에서 선발된 대학생 55명으로 구성된 ‘제3기 응급의료 서포터즈’를 공식 출범시켰다. 이들은 오는 11월까지 SNS 콘텐츠 제작을 통해 응급처치 및 응급의료 서비스 인식 개선에 앞장서며, 우수 팀에는 보건복지부장관상 등 다양한 시상이 예정되어 있다. -
강동경희대병원, 장애인 건강검진 우수사례로 복지부 장관상 수상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이 ‘2025년 장애인 건강보건서비스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연계·협력 통합서비스 부문 보건복지부 장관상을 수상했다. 병원은 강동구 보건소, 시립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등과 협력해 의료취약계층 장애인을 위한 종합건강검진을 실시하고, 질환 발견 시 후속 치료까지 연계하는 통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해 높은 평가를 받았다. -
이대서울병원-액티브레인바이오, 인공지능 기반 뇌 건강 솔루션 공동 개발
이대서울병원이 인공지능 헬스케어 기업 액티브레인바이오와 협력해 치매 등 인지 저하 예방을 위한 디지털 뇌 건강 관리 시스템 공동 개발에 나선다. 정밀 건강검진 및 다학제 협력을 기반으로 스마트 병원 인프라를 활용한 새로운 노화 관리 모델을 선보일 예정이다. -
경희대병원, 고위험산모센터 확장… 동북권 고위험 임산부 치료 거점으로
경희대학교병원이 7월 22일 고위험산모센터 확장 개소식을 열고 본격 운영에 들어갔다. 이번 확장을 통해 고위험 임산부 전용병상 및 신생아 중환자실을 증설하고, 응급 대응 및 협진 시스템을 정비하여 서울 동북권 고위험 산모 치료의 중심 역할을 강화할 계획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