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이상연 교수와 서울의대 생화학교실 배상수 교수 연구팀이 유전성 난청의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 연구팀은 MPZL2 유전자의 대표적 돌연변이(c.220C>T)를 표적으로 삼아 단 한 번의 유전자 교정으로 청력 회복 효과를 입증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 인구에서 높은 빈도로 나타나는 유전성 난청 변이를 대상으로, 자체 개발한 아데닌 염기교정 유전자가위(Adenine Base Editor, ABE)를 적용한 세계 최초 사례다. 전임상 단계에서 ‘원샷(one-and-done)’ 치료 가능성을 확인하며 정밀 유전자 치료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MPZL2 c.220C>T 변이는 DFNB111형 감각신경성 난청의 주요 원인으로, 전체 유전성 난청 환자의 약 10%에서 발견된다. 정상적으로는 글루타민을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이 돌연변이로 인해 종결 신호로 바뀌면서 단백질 생성이 중단되고, 사춘기 이후 청력 저하가 급격히 진행돼 결국 고도난청으로 이어진다. 현재까지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어 보청기나 인공와우가 유일한 대안이었다.
연구팀은 국내외 1,437가계를 분석해 해당 변이의 임상적 중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제작했다. 이어 최신형 유전자가위(ABE8eWQ-SpRY)를 자체 개발해 돌연변이를 정상 서열로 교정하는 전략을 수립했다. 이 기술은 DNA 절단 없이 아데닌(A)을 구아닌(G)으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세포 손상이 적고 정확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연구팀은 변형 아데노-연관 바이러스 벡터(AAV-ie)에 유전자가위를 실어 마우스 달팽이관 정원창을 통해 1회 주사했다. 그 결과 청성뇌간유발반응(ABR)과 이음향방사(DPOAE) 검사에서 전 주파수 영역에서 20~30dB 수준의 청력 향상이 관찰됐고, 이 효과는 20주차 이상 유지됐다. 조직 분석에서도 외유모세포(OHC)와 지지세포(DC)가 뚜렷하게 회복돼 청각세포 생존율과 조직 구조 복원 효과를 동시에 입증했다.
안전성 검증도 철저히 이루어졌다. Cas-OFFinder와 GUIDE-seq 분석으로 오프타깃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표적 이탈 현상은 없었으며 RNA-seq 분석에서도 비표적 편집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연구에 사용된 유전자가위가 높은 정밀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갖추었음을 보여준다.
서울의대 배상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특히 흔한 난청 유전자 변이를 정확히 교정해 치료 가능성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설명했다. 서울대병원 이상연 교수는 “앞으로는 보청기나 인공와우에만 의존하지 않고, 원인 유전자가 규명된 환자에게 맞춤형 유전자 치료가 가능해질 것”이라며 “전임상과 임상 연구를 통해 실제 치료로 이어지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서울의대 의사과학자 양성 과제,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연구사업,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 서울형 바이오 과제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IF 15.7)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 성과는 기존 난청 치료 한계를 넘어 유전적 원인을 정밀하게 교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으며, 향후 임상 적용을 위한 추가 연구가 이어질 예정이다.
![[그림1] 연구 개요_MPZL2 돌연변이 인간화 마우스에 자체 개발 유전자가위를 1회 주사해 청력 개선 확인](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8/2944_4963_436.jpg)
![[그림2] 유전자 교정 치료 후 청각세포 및 지지세포 회복 효과](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8/2944_4964_444.jpg)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소아이비인후과 이상연 교수, 서울의대 생화학교실 배상수 교수·정소향 뇌과학 협동과정 학생·구한솔 종양생물학 협동과정 학생](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8/2944_4965_455.jpg)
-
허리 디스크, 수술 전 생활습관 교정과 비수술 치료가 먼저다
허리 디스크로 알려진 추간판 탈출증은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으며, 수술이 아닌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상당수 호전이 가능하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재활의학과 정승준 교수는 “허리 디스크 관리의 핵심은 생활습관 교정과 비수술 치료”라며, 주사 치료와 견인 치료, 그리고 회복기에는 올바른 자세 유지와 코어 근육 운동이 재발을 막는 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국내 연구팀, 장기이식 환자 예후에 ‘오존 영향’ 세계 최초 규명
서울대학교병원운영 보라매병원과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공동 연구팀이 장기이식 환자의 예후에 ‘장기적 오존 노출’이 직접적 악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했다. 이번 연구는 이식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미국이식학회지(American Journal of Transplantation)*에 게재되었으며, 오존 농도 상승이 환자의 생존율과 이식신 기능상실 위험을 유의미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세란병원, 치과 진료 개시…구강악안면외과 전문 진료 본격화
서울 종로구 세란병원이 치과를 신규 개설하고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 오민석 과장을 초빙했다. 세란병원 치과는 턱관절질환, 양악수술, 임플란트, 치주질환 등 전문 분야를 세분화했으며, 특히 안면외상에 대해 365일 24시간 대응 체계를 갖춘 것이 특징이다. 오민석 과장은 환자 맞춤형 관리와 안전한 진료 환경 조성을 강조했다. -
경희대학교병원·치과병원 신임 병원장 취임
경희의료원이 8월 20일 의생명연구동에서 경희대학교병원과 경희대학교치과병원 신임 병원장 취임식을 열었다. 김종우 신임 병원장(정신건강의학과)과 김형섭 신임 치과병원장(보철과)은 각각 중증·필수·응급의료 역량 강화, CAR-T 세포치료센터 운영, 디지털 기반 융합연구 활성화 등 미래 의료를 선도하기 위한 청사진을 제시했다. 오주형 의료원장은 경희의학의 발전을 함께 이끌어갈 뜻을 밝혔다. -
“통풍, 중년 남성만의 병 아니다”… 폐경 후 여성 환자 급증
극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통풍은 흔히 중년 남성의 질환으로 알려져 있지만, 폐경 이후 여성 환자도 크게 늘어나 70세 이상에서는 남녀 환자 수가 비슷한 수준에 이른다. 여성은 남성과 달리 발목이나 무릎 등 비전형적 부위에 발작이 잦아 진단이 늦어지기 쉽다. 전문가들은 여성 환자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관리와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
북한이탈 아동·청소년, 국내 또래보다 정신질환 위험 1.3배 높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홍민하 교수 연구팀은 북한이탈 아동·청소년이 국내 일반 아동·청소년보다 정신질환 발병 위험이 약 1.3배 높다는 대규모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활용해 최대 15년간 추적한 전국 단위 코호트 연구로, PTSD·우울증·ADHD 등 주요 질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결과가 난민 아동·청소년의 장기적 정신건강 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
어깨 통증의 주범 ‘회전근개파열’, 모든 경우가 수술 대상은 아니다
어깨 관절의 대표적 만성 통증 원인인 회전근개파열은 노화, 반복된 어깨 사용, 외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한다. 모든 환자가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며,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지속되고 기능 회복이 어렵거나 야간 통증이 심할 때 수술이 권장된다. 전문가들은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
이대비뇨기병원, 국내 최초 ‘순수단일공 로봇수술’ 개발…비뇨기종양 수술 패러다임 바꾼다
이대비뇨기병원 고영휘 교수가 국내 최초로 ‘순수단일공 로봇수술법’을 개발해 전립선암, 신장암, 요관암 등 비뇨기종양 수술에 적용하고 있다. 이 수술법은 기존 단일공 수술보다 침습을 더욱 줄여 수술 후 통증과 입원 기간을 단축하고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 만족도가 높다. 학계에서도 인정받으며 국제학술지에 보고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
흡연·음주와 직결된 후두암, 조기 발견과 생활 습관 관리가 핵심
건국대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임영창 교수는 후두암이 전체 두경부암의 약 30~40%를 차지하며 흡연과 음주가 주요 발병 요인이라고 경고했다. 초기 증상이 감기나 후두염과 비슷해 놓치기 쉬우며, 쉰 목소리가 2주 이상 이어지면 반드시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방을 위해 금연·절주와 함께 발성 습관 관리, 정기 검진이 필요하며, 치료 이후에는 목소리 재활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꼽힌다. -
보라매병원 연구팀, “의료급여 환자 복부대동맥류 스텐트 시술 후 사망 위험 더 높다”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오세진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복부대동맥류 환자 1만5천여 명을 분석한 결과, 의료급여 환자가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경우 건강보험 환자보다 장기 사망 위험이 약 1.8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국내 대규모 자료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요인이 수술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으로, 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사후 관리와 제도 보완 필요성이 제기됐다. -
강동경희대병원, 간암·유방암 적정성 평가 ‘최우수’ 성적 달성
강동경희대학교병원(원장 이우인)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23년 간암·유방암 적정성 평가에서 탁월한 성적을 거뒀다. 간암은 모든 평가지표에서 만점을 받아 최고 수준의 진료 역량을 입증했으며, 유방암은 96.01점을 획득해 상급종합병원 평균인 93.75점을 웃돌았다. 두 평가 모두 수술 사망률과 재입원율에서 ‘0’을 기록,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서도 우수성을 보여줬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