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병원과 KAIST 연구진이 국내 최초로 소두증의 유전자 스펙트럼을 체계적으로 규명했다. 소두증은 연령과 성별 평균치보다 두위가 2표준편차 이상 작은 경우를 의미하며, 뇌 성장과 발달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 출생 시부터 나타나는 일차성 소두증과 성장 과정에서 나타나는 이차성 소두증으로 구분되며, 약 1,300여 개의 유전자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동안 환자별 원인을 정확히 특정하기는 어려웠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병원 임상유전체의학과 채종희 교수, KAIST 생명과학과 윤기준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 공동연구팀이 주도했다. 연구팀은 소두증을 동반한 신경발달장애 환자 418명과 가족 632명, 총 1,050명의 전장 엑솜 유전체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전체 환자의 56.7%에서 유전적 원인을 규명했으며, 총 142개의 관련 유전자가 확인됐다. 특히 이 가운데 29개는 새롭게 발굴된 유전자로, 소두증에 대한 이해를 한층 넓혔다.
구체적 사례도 보고됐다. 원인 불명으로 반복된 유산과 발달장애 아동 출산을 겪던 한 가족은 이번 연구를 통해 ‘SMPD4 유전자 결실’이라는 명확한 원인을 확인했다. 이후 유전 상담과 착상 전 유전진단(PGD)을 통해 안정적인 자녀 계획을 이어갈 수 있었다.
또한 연구팀은 일차성과 이차성 소두증의 유전적 기전 차이를 규명했다. 일차성 소두증은 DNA 손상 반응과 세포 분열 등 뇌 발달 초기 단계 경로와 관련이 깊었고, 이차성 소두증은 시냅스 형성·조절, Wnt/β-catenin 경로 등 후기 신경 성숙 단계와 연관돼 있었다. 아울러 미진단 환자군에서는 추가로 12개의 후보 유전자가 발굴됐으며, 그중 ‘RTF1’과 ‘ASAP2’가 뇌 발달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뇌 오가노이드 실험에서도 이들 유전자가 결핍되면 신경 전구세포의 증식이 감소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채종희 교수는 “실제 소아 환자의 머리둘레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유전체 분석을 통해 뇌 크기와 기능 발달에 관련된 유전자 네트워크를 밝혀냈다”며 “이러한 데이터 축적은 향후 맞춤형 치료제 개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윤기준 교수 역시 “줄기세포 유래 뇌 오가노이드 모델을 통해 새롭게 발굴한 유전자의 기능을 검증한 것은 임상과 기초 연구의 융합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번 연구는 이건희 소아암·희귀질환 극복사업, 한국연구재단, 서경배 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유전체 분야 권위 학술지 ‘Genome Medicine(IF 11.2)’ 최근호에 게재됐다. 연구 결과는 신경발달장애 환자들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왼쪽부터] 서울대병원 채종희 교수, KAIST 윤기준 교수·장현수 연구원, 강남세브란스병원 윤지훈 교수](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8/2955_4974_4635.jpg)
![[자료] 국내 소두증 유전자 스펙트럼 규명](https://cdn.healthlifeherald.com/news/photo/202508/2955_4975_4646.jpg)
-
어두운 곳에서 두통·눈 통증 반복된다면, ‘간헐폐쇄각녹내장’ 의심해야
세란병원 안과는 어두운 곳에서 눈의 뻐근함, 두통, 시야 흐림 등이 반복된다면 간헐폐쇄각녹내장을 의심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질환은 급성폐쇄각녹내장의 전 단계로, 발작이 반복되면 시신경이 점차 손상돼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예방적 레이저 홍채절개술 등 치료가 필요하며, 생활습관 관리도 필수적이다. -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국민건강보험공단 수원동부지사, 공공보건의료 협력 간담회 개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병원장 김덕원)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수원동부지사(지사장 정승룡)와 간담회를 열고 공공보건의료 협력 체계 강화와 건강보험 현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을 앞두고 의료·요양·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며 향후 협력 방향을 모색했다. -
강동경희대병원, 간암·유방암 적정성 평가 ‘최우수’ 성적 달성
강동경희대학교병원(원장 이우인)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발표한 2023년 간암·유방암 적정성 평가에서 탁월한 성적을 거뒀다. 간암은 모든 평가지표에서 만점을 받아 최고 수준의 진료 역량을 입증했으며, 유방암은 96.01점을 획득해 상급종합병원 평균인 93.75점을 웃돌았다. 두 평가 모두 수술 사망률과 재입원율에서 ‘0’을 기록, 환자 안전과 치료 성과에서도 우수성을 보여줬다. -
폐 기능 보존하는 단일공 흉강경 복잡 구역절제술, 안전성과 효과 입증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안세하·문영규 교수 연구팀이 단일공 흉강경을 이용한 폐암 복잡 구역절제술의 안전성과 종양학적 효과를 입증했다. 1,157명의 폐암 환자 중 513명을 분석한 결과, 복잡 구역절제술은 단순 구역절제술과 비교해 수술 성적이 유사하면서도 평균 재원일수가 짧고 합병증이 적었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Journal of Thoracic Disease에 게재됐다. -
보라매병원 연구팀, “의료급여 환자 복부대동맥류 스텐트 시술 후 사망 위험 더 높다”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오세진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활용해 복부대동맥류 환자 1만5천여 명을 분석한 결과, 의료급여 환자가 혈관 내 스텐트 삽입술을 받은 경우 건강보험 환자보다 장기 사망 위험이 약 1.87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국내 대규모 자료를 토대로 사회경제적 요인이 수술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으로, 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사후 관리와 제도 보완 필요성이 제기됐다. -
흡연·음주와 직결된 후두암, 조기 발견과 생활 습관 관리가 핵심
건국대병원 이비인후-두경부외과 임영창 교수는 후두암이 전체 두경부암의 약 30~40%를 차지하며 흡연과 음주가 주요 발병 요인이라고 경고했다. 초기 증상이 감기나 후두염과 비슷해 놓치기 쉬우며, 쉰 목소리가 2주 이상 이어지면 반드시 검진을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방을 위해 금연·절주와 함께 발성 습관 관리, 정기 검진이 필요하며, 치료 이후에는 목소리 재활이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과정으로 꼽힌다. -
이대비뇨기병원, 국내 최초 ‘순수단일공 로봇수술’ 개발…비뇨기종양 수술 패러다임 바꾼다
이대비뇨기병원 고영휘 교수가 국내 최초로 ‘순수단일공 로봇수술법’을 개발해 전립선암, 신장암, 요관암 등 비뇨기종양 수술에 적용하고 있다. 이 수술법은 기존 단일공 수술보다 침습을 더욱 줄여 수술 후 통증과 입원 기간을 단축하고 흉터를 최소화할 수 있어 환자 만족도가 높다. 학계에서도 인정받으며 국제학술지에 보고돼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다. -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 재택의료센터 학술 세미나 개최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이 8월 28일 ‘2025년 재택의료센터 학술 세미나’를 열고 초고령사회에서 지역사회 기반 재택의료의 역할과 과제를 논의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재택의료 모델과 방문진료 사례가 공유됐으며, 지자체와 공공기관, 의료계 전문가들이 제도적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
경희대학교병원, ‘래디젝트 X9’ 가동… 동부권역 정밀 방사선 치료 허브로
경희대학교병원이 9월 1일 최첨단 맞춤형 방사선 암 치료기 ‘래디젝트 X9’를 본격 가동하며 동부권역 정밀 방사선 치료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이번 도입으로 치료 속도와 정확성이 높아지고, 무표식-실시간 표면 유도 방사선 치료 시스템까지 병행해 환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크게 강화했다. -
은평성모병원 심장혈관병원, ‘심장의 날’ 맞아 건강강좌 개최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심장혈관병원이 오는 9월 16일 병원 강당에서 ‘심장의 날’ 건강강좌를 개최한다. 이번 강좌에서는 항응고제, 심부전, 심장수술, 약물·영양 관리 등 심혈관질환 전반에 대한 최신 치료법과 예방법이 소개되며,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
임플란트 안정성 위해 잇몸뼈 부족 시 ‘뼈이식술’ 고려 필요
세란병원은 임플란트 수술 전 잇몸뼈(치조골)가 부족한 경우 뼈이식술이나 상악동 거상술을 통해 안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발치 후 시간이 지나면서 뼈가 소실되는 경우가 많아 전문의의 진단과 맞춤형 치료가 중요하다. -
이대목동병원 융합의학연구원–GC녹십자의료재단, 의료기기 및 헬스케어 협력 강화
이대목동병원 융합의학연구원과 GC녹십자의료재단이 보건의료 및 헬스케어 의료기기 분야 상호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산업 육성, 공동 사업화, 창업 지원, 학술 교류 등을 함께 추진하며 의료기술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