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전적 탈모 질환인 '안드로겐 탈모'를 유형별로 선별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술이 개발됐다.
한국콜마는 두피 표면에 있는 바이오마커(DNA)를 선별, 남성형 탈모 9가지와 여성형 탈모 7가지, 총 16가지의 안드로겐 탈모를 진단할 수 있는 기술을 발표했다.
소비자의 두피로부터 채취한 바이오마커를 분석 장비에 올려놓으면 인공지능 프로그램이 100만 단위의 유전자 빅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해당 소비자가 안드로겐 탈모에 해당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해당한다면 그 세부 유형이 무엇인지를 분석해내는 방식이다.
안드로겐 탈모란?
'안드로겐 탈모'란, 머리의 앞쪽과 정수리에 존재하는 모근에서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겐의 활성이 높아짐으로써 발생하는 탈모를 말한다. 국내에서는 50대 남성 3명 중 1명꼴로 발생하는 매우 흔한 탈모증이다.
안드로겐이 남성 호르몬이라는 점 때문에 흔히 남성에게만 유전된다는 오해가 있지만, 여성에게도 유전될 수 있는 탈모증이다. 이 때문에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로 구분되며 각각 보다 세부적인 유형으로 나뉜다.
안드로겐 탈모는 머리 앞쪽에서부터 탈모가 시작되며, 진행됨에 따라 모발 라인이 뒤로 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머리카락이 점차 가늘어지는 것이 주요 증상이며, 탈모가 주로 발생하는 앞머리와 정수리의 경우 머리카락 굵기가 불규칙적으로 가늘어진다.
여성 또한 안드로겐 호르몬이 존재하기 때문에 탈모 증상이 진행될 수 있다. 빠르면 20대 중반부터 시작될 수 있다. 단, 여성의 경우 정수리 쪽 모발이 점차 가늘어지고 밀도가 떨어지는 양상을 보인다. 남성과 달리 앞머리선이 뒤로 밀리는 현상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증상은 급격하게 진행되지 않고 서서히 나타난다. 탈모증이 상당히 진행된 경우에도 뒤통수쪽 모발은 빠지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탈모 유형별 맞춤형 화장품 개발 예정
한국콜마는 국내 화장품 업계 최초로 제조자 개발 생산방식(Original Development & Design Manufacturing, ODM) 모델을 선보인 기업이다.
자체적으로 제품을 개발하고 기획해 출시하는 방식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자체 화장품 융합연구센터를 설립해 운영함으로써 ODM 모델이라는 방식을 더욱 공고히 다져가고 있다.
한국콜마는 이번 발표한 인공지능 기반 안드로겐 탈모 선별 기술을 토대로 각 탈모 유형에 대한 맞춤형 화장품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
느린 노화의 상징, ‘동안’을 바라는 사람들에게
동안(童顔)은 시대에 구애받지 않는 ‘범시대적’ 키워드다. ‘노화’나 ‘항산화’ 등 트렌드와 맞물리면서, 직접적으로 거론되지는 않더라도 사람들은 동안이라는 단어와 이미지를 떠올린다. 최근 화제가 되고 있는 저속노화, 가속노화 역시 본질적으로 동안과 연결점을 갖고 있다.대부분의 사람들은 기왕이면 동안이기를 원한다. 왜 그럴까? 사람은 누구나 태어난 순간부터 죽음을 향해 나아간다. 생명과 직결되는 세포의 수명이 다하면 곧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고, 노화는 그 과정을 나타내는 현상이자 지표다. 세포의 수명 감소, 즉 노화는 자연적 섭리이기 -
카이스트 기술 탈모 샴푸 그래비티, 출시 5일 만에 초도물량 완판
카이스트 교원 창업 스타트업인 폴리페놀팩토리(대표이사 이해신)가 지난 4월 15일 국내 출시한 고기능성 헤어케어 브랜드 ‘그래비티(grabity™)’의 초도물량을 출시 5일 만에 모두 완판했다고 밝혔다.그래비티는 기능성 샴푸 ‘갈변샴푸’에 이은 카이스트 화학과 이해신 석좌교수의 2번째 발명품이다. 지난 3월말 미국에 론칭했고, 국내에는 이달 15일 론칭해 사전판매와 샘플판매에서 연이은 완판을 기록하며 정식 출시 109시간만에 7개 상품 전체물량이 품절됐다.그래비티 샴푸는 특허 성분인 ‘리프트맥스(LiftMax 308™)’가 모발에 -
탈모 인구 1000만 시대, 스타일링 사각지대에 놓인 탈모인을 위한 두피 관리 및 가발 스타일링 전문 브랜드 ‘모모 프레’ 론칭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서 고객 맞춤형 헤어 스타일링으로 명성을 얻은 살롱 드 프레는 2024년 3월 두피 케어 및 가발 전문 브랜드 ‘모모 프레’를 론칭한다고 발표했다. 모모 프레는 고객의 두피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두피 환경을 조성하는 데 전문적인 도움을 줄 예정이다.살롱 드 프레, 모모 프레 대표인 이솔 원장은 “오랜 시간 헤어스타일링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들의 모발과 두피를 만지다보니 두피 건강이 아름다운 헤어스타일의 기본이라는 것을 깨달았다”며 “모모 프레는 단순히 가발을 판매하는 곳이 아닌 고객이 자신감과 아름다움을 되찾 -
서울성모병원, 14년의 연구·분석 끝에 국내 최초 ‘AMED 증후군’ 진단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이하 서울성모병원)이 국내 최초로 선천성 유전질환인 ‘AMED 증후군’을 진단해냈다. AMED 증후군은 골수의 부적절한 조혈 작용으로 인해 혈구 감소 증상을 보이는 유전질환 ‘골수부전증후군’ 중 한 유형이다. 골수부전증후군은 신생아 백만 명당 65명 정도로 매우 낮은 빈도로 발생하는 희귀 난치병이다. 다만, 그 증상이 다양하여 정확하게 진단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실제 유병률은 통계치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서울성모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명신·이종미, 그리고 혈액병원 소아혈액종양센터 정낙균 교수팀은 -
의료AI 기업 루닛, 솔루션 넘어 플랫폼으로 나아가기 위한 시동
‘인공지능(AI) 기술로 암을 정복한다’라는 슬로건을 내세운 의료 인공지능 기업 ‘루닛(Lunit)’이 지난 2일(화) 새로운 최고기술책임자(Chief Technology Officer, CTO)로 유성원 박사를 영입했다. 루닛은 2013년 창립한 의료AI 기업으로,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암을 정복하겠다는 목표로 설립됐다. 이래 2022년 코스닥 상장을 마쳤다.주로 해외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진행하다가, 지난 4월 인공지능 기반 흉부 X-Ray 솔루션인 ‘루닛 인사이트 CXR’이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최종 승인을 받으며 국내 보급을 -
모성애와 식욕 제어 성공, 세계 최초 ‘뇌 신경회로 원격 제어기술’
기초과학연구원(Institute for Basic Science, IBS) 나노의학 연구단 소속 연구팀이 자기장을 활용해 뇌 신경회로를 정밀 제어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나노의학 연구단 천진우 단장과 곽민석, 이재현 연구위원이 소속된 연구팀은 IBS 인지 및 사회성 연구단과의 협업으로 나노-MIND 기술을 개발했다. MIND는 Magnetogenetic Interface for NeuroDynamics의 줄임말로, 자기장으로 신경회로를 제어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복잡한 뇌 구조, 의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면?인간의 뇌는 -
머리카락, 안녕하신가요? 당신의 모발을 힘겹게 만드는 습관들
현대인들에게 흔한 고민 중 하나를 꼽으라면 ‘탈모’를 빼놓을 수 없다. 탈모는 보통 모발이 점점 얇아지고 짧아지는 ‘미세화’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이는 주로 ‘안드로겐’이라는 호르몬의 영향이다. 모발이 미세화되면 그에 따라 모낭도 점점 작아지게 되고, 결국 다시 미세화된 모발이 자라거나 새로운 모발이 자라나기 어려운 환경이 된다.탈모는 보통 유전성이 강하다고 알려져 왔다. 하지만 현대인들에게는 다르다. 유전이 아니더라도 스트레스나 영양 결핍 등으로 인해 후천적 탈모가 생길 수 있는 탓이다. 또 한 가지, 일상에서 알게 모르게 행하 -
탈모 인구 1천만… 탈모, 얼마나 알고 있나요?
탈모는 일반적인 예상보다 흔한 문제다. 2023년 기준 건강보험공단에서 추정한 우리나라 탈모 인구는 약 1천만 명 수준으로 보고 있다. 탈모가 시작된 사람들까지도 포함한 수치지만, 어쨌거나 성인 인구 전체로 따지면 대략 20~30%, 즉 적어도 5명 중 1명, 많게는 3명 중 1명에 해당하는 숫자다.이러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탈모에 대한 이해는 여전히 부족해보인다. 통계상 수치를 감안하더라도 누구에게나 생길 수 있는 문제인 만큼, 탈모의 유형과 원인 등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탈모의 다양한 유형들탈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