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비스포스포네이트 주사제를 일정 기간 중단하면, 치과 치료 시 발생할 수 있는 '약물 관련 턱뼈 괴사증(MRONJ)'의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박정현 교수 연구팀은 국내 골다공증 환자 15만여 명의 의료 데이터를 분석해 주사형 비스포스포네이트 약물의 중단 기간과 MRONJ 발생 위험 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했다. 연구는 골다공증 약물 투약 중단 기간에 따라 네 개 그룹으로 나뉘어 진행됐으며, 90일 이하(A그룹), 91180일(B그룹), 181365일(C그룹), 365일 초과(D그룹)의 투약 중단군을 대상으로 MRONJ 발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A그룹과 비교했을 때 B그룹은 MRONJ 발생 위험이 43%, C그룹은 55%, D그룹은 57% 낮아졌다. 투약 중단 기간이 길수록 MRONJ 발생 위험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이다.

MRONJ는 골다공증 치료제나 항암제와 같은 특정 약물을 장기간 복용할 경우 턱뼈에 발생하는 괴사성 질환으로, 통증과 저작장애, 안면부 변형 등 심각한 후유증을 유발한다. 특히 발치, 임플란트와 같은 치과 침습 시술 후 발병 위험이 급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박정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국내 실제 임상 환경에서 축적된 빅데이터를 활용한 분석으로서, 향후 MRONJ 예방을 위한 실효성 높은 진료 가이드라인 마련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며, “턱뼈 괴사는 치료가 까다롭고 환자의 삶의 질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골다공증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은 반드시 치과 진료 전 의료진과 약물 중단 여부에 대해 충분한 논의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박 교수는 현재 이대목동병원 내 난치성 악골괴사 임상연구센터를 이끌며, 악골괴사의 발병 메커니즘 규명과 치료법 표준화를 위한 다학제 연구를 활발히 진행 중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박정현 교수와 함께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공성혜 교수가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으며, 연구 성과는 국제 저명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IF 16.6)'에 게재됐다.

[사진]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박정현 교수
[사진] 이대목동병원 구강악안면외과 박정현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