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7년 기상 관측 역사상 가장 무더운 7월 초순 날씨가 이어지면서 온열질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5월 중순부터 7월 8일까지 약 두 달 동안 집계된 온열질환자는 총 1,228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8명에 이른다. 특히 일일 환자 수는 지난 2018년 이후 처음으로 200명을 돌파하며 폭염에 따른 건강 위협이 본격화되고 있다.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는 “야외 근로자나 고령자뿐 아니라 만성질환자나 어린이들도 체온 조절이 어려워 온열질환에 쉽게 노출된다”며 “예방 수칙을 생활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온열질환자의 81.1%가 실외에서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 중 작업장(28.7%)과 논밭(14.4%), 길가(13.9%) 등 고온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장소에서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50대 이상이 61.1%, 65세 이상이 33.6%를 차지했다. 이는 야외 활동이 많은 중·장년층과 고령자에게 폭염이 큰 위협이 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온열질환은 고온 환경에 장시간 노출될 때 나타나는 급성질환으로, 열사병, 열탈진, 열경련, 열실신, 열부종 등이 대표적이다. 두통, 어지럼증, 근육 경련, 의식저하 등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며, 적절한 조치를 하지 않을 경우 생명이 위태로울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선 가장 더운 시간대인 오후 12시부터 5시 사이에는 외부 활동을 피하고, 갈증을 느끼지 않더라도 수시로 물이나 이온음료를 마시는 것이 좋다. 이 교수는 “카페인 음료나 주류는 오히려 탈수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삼가야 하며, 일정 시간마다 그늘에서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외출 후에는 샤워를 통해 체온을 낮춰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외출 전 기온 및 폭염특보 등 기상정보를 수시로 확인하고, 밝은색의 통풍이 잘 되는 옷차림과 양산, 챙이 넓은 모자 등을 통해 햇볕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고온 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하고 체온 상승을 막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만약 무더위 속에서 빠른 맥박이나 호흡, 두통, 어지러움,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즉시 서늘한 그늘이나 실내로 이동해 휴식을 취하고,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이 교수는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경련, 의식저하가 발생할 경우 119에 즉시 신고하고 구급차가 도착할 때까지 옷을 느슨하게 하고 물로 적신 수건 등을 이용해 체온을 낮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계속되는 폭염 속에서 온열질환에 대한 경각심이 그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점이다. 전문가들은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기본 예방수칙을 생활화해 폭염으로부터 자신과 가족의 건강을 지킬 것을 당부하고 있다.

[사진]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
[사진] 이대목동병원 응급의학과 이덕희 교수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