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뇌전이암은 다른 장기에 생긴 암세포가 뇌로 전이되면서 생기는 종양으로, 크기가 클수록 뇌압 상승과 신경학적 손상이 심각해 빠른 치료가 필요하다. 지금까지는 개두술이 우선 권장됐지만, 고령이나 기저질환으로 수술을 견디기 힘든 환자에게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명호성 교수 연구팀은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1차 치료로 적용한 임상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 대상은 대형 뇌전이암 진단 후 해당 치료를 받은 환자 93명으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했다.

분획 방사선 수술은 고선량의 방사선을 한 번에 조사하는 기존 방식과 달리, 소량을 여러 차례 나누어 조사해 부작용을 줄이는 방식이다. 특히 감마나이프는 고에너지 감마선을 병변에만 정밀하게 조사해 정상 뇌 조직 손상을 최소화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대형 뇌전이암에서 감마나이프 기반 분획 치료의 효과는 명확히 입증되지 않았다.

연구팀 분석 결과, 환자의 중앙 생존 기간은 15.2개월로, 기존 개두술의 평균 생존 기간(8~18개월)과 비슷했다. 재발 및 전이 없는 무진행 생존 기간은 8.2개월이었다. 무엇보다도 치료 후 6~9개월째 종양과 부종의 부피가 각각 78%, 82% 감소했으며, 전체 환자의 87.1%에서 신경학적 증상이 안정되거나 개선되는 성과를 보였다. 종양 부피가 절반 이하로 줄어드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3.3개월이었다.

안전성도 확인됐다. 환자의 5.4%에서 방사선 괴사가 나타났지만, 입원 치료가 필요할 정도의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다. 이는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개두술의 합병증을 피하면서도 충분히 효과적인 치료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백선하 교수는 “이번 연구는 대형 뇌전이암 환자에서 분획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의 효과와 안전성을 최초로 입증한 사례”라며 “앞으로는 수술이 어려운 환자에게 외과적 절제를 대신할 1차 치료법으로 권장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미지] 연구 개요
[이미지] 연구 개요
[그래프] 종양 및 부종 부피 감소율 중앙값
[그래프] 종양 및 부종 부피 감소율 중앙값
[사진 왼쪽부터]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명호성 임상강사
[사진 왼쪽부터]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명호성 임상강사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련기사